[사설]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 ‘213만 원’, 말이 되나

입력 2024-02-01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민국 미래세대는 생애 소득의 40% 이상을 조세로 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인당 부담액은 12억4500만 원이다. 국가 재정 상황이 이토록 취약하다. 전영준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가 오늘 ‘2024년 경제 공동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 교수 연구에 따르면 정부 부채의 구멍을 막으려면 미래에 창출될 부가가치(GDP) 총액의 13.3%가 투입돼야 한다. 미래세대 등골이 휘게 마련이다. 기초연금 유지에만 2.3%가 할애돼야 한다는 결론이다. 국민·공무원 등 각종 공적 연금도 두루 문제지만 기하급수적으로 부담이 커지는 기초연금 문제부터 들여다보지 않을 수 없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확정한 ‘사회보장 기본계획’에 따라 올해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은 노인 단독가구 기준 월 213만 원으로 급상승했다. 부부 가구는 월 소득인정액 340만8000원을 넘지 않으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 기초연금은 국민 세금으로 지급한다. 2008년 1월 시행된 기초노령연금이 전신이다. 당시 월 소득인정액은 40만 원이었다. 이것이 기초연금으로 전환된 2014년 87만 원으로 올랐고 이젠 시행 초기의 5.3배로 껑충 뛴 것이다.

소득인정액이 오른다는 것은 형편이 괜찮아도 기초연금을 타게 된다는 얘기다. 가령 대도시에선 5억 원짜리 아파트와 2000만 원의 금융 재산이 있고, 근로소득으로 월 200만 원을 벌어도 매달 꼬박꼬박 33만4000원을 받게 된다. 일용근로, 공공일자리, 자활근로소득은 인정액 계산에서 제외된다. 얼마를 벌든 상관없다. 차량 배기량 기준도 올해부터 사라져 외제차를 몰아도 다른 요건만 충족하면 기초연금이 나온다. 다른 재산과 소득이 없고 근로소득만 있을 경우 맞벌이 부부는 700만 원 가까이 벌어도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단세포적인 포퓰리즘 정책이 얼마나 지속될지 의문이다. 전임 문재인 정부는 20만 원이던 기초연금액을 30만 원 수준으로 올렸다. 현 정부도 물가상승률만큼 더 올리고 있다. 수급자는 올해 700만 명에 육박하고 2030년 914만 명, 2050년 1330만 명에 이를 전망이다. 혹독한 포퓰리즘 청구서가 기다린다.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지급 총액은 2030년 37조 원, 2050년 120조 원으로 폭증한다. 이러니 등골이 안 휠 수가 없다. 미래세대에 미안하지도 않나.

초저출산·고령화의 인구학적 문제는 비탈길을 구르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70대 이상이 지난해 사상 처음 20대를 웃돌았다. 반면에 나라 곳간은 말라간다. 잘못된 제도를 하루빨리 뜯어고쳐야 한다. 지급 대상은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로 정해져 있다. 미래세대의 부담을 키우는 억지 기준이다. 왜 70%를 고집하나.

정말 도움이 필요한 노인들이 더욱 넉넉히 지원받을 수 있도록 선별적 지원체계를 갖춰야 한다. 예산 낭비를 줄여 저출산, 청년 일자리 대책을 두텁게 하는 게 더 낫다. 국민 혈세를 제대로 쓰는 것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다. 국민은 상식을 원한다. 미래세대는 더욱 그럴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무대를 뒤집어 놓으셨다…'국힙원탑' 민희진의 기자회견, 그 후 [해시태그]
  • [유하영의 금융TMI] 위기 때마다 구원투수 된 ‘정책금융’…부동산PF에도 통할까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번엔 독일행…글로벌 경영 박차
  • ‘이재명 입’에 달렸다...성공보다 실패 많았던 영수회담
  •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대상 ‘만 19~39세’로 확대
  • "성덕 됐다!" 정동원, '눈물의 여왕' 보다 울컥한 사연
  • 투자자들, 전 세계 중앙은행 금리 인하 연기에 베팅
  • 잠자던 '구하라법', 숨통 트이나…유류분 제도 47년 만에 일부 '위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30,000
    • +1.49%
    • 이더리움
    • 4,767,000
    • +6.34%
    • 비트코인 캐시
    • 693,500
    • +2.21%
    • 리플
    • 753
    • +1.21%
    • 솔라나
    • 206,000
    • +5.37%
    • 에이다
    • 682
    • +3.81%
    • 이오스
    • 1,181
    • -0.84%
    • 트론
    • 173
    • +0.58%
    • 스텔라루멘
    • 167
    • +3.0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000
    • +3.3%
    • 체인링크
    • 20,530
    • +0.24%
    • 샌드박스
    • 665
    • +2.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