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퇴원 후 돌봐줄 보호자 없다면 ‘일상회복서비스’ 신청하세요”

입력 2023-03-22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식사 도움, 주변 정돈 단기재가돌봄서비스
연 1회 최대 15일 시간당 5000원에 이용

▲서울시 퇴원 후 일상회복 서비스 관련 포스터.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 퇴원 후 일상회복 서비스 관련 포스터. (자료제공=서울시)

#. 무릎 골절로 급하게 입원하느라 집 정리를 제대로 못 해서 어지러웠는데 일상회복매니저가 집을 깨끗하게 정리해줘 감사했습니다. 식사와 약을 챙겨줄 뿐만 아니라 동생, 조카처럼 곁에서 이야기도 잘 들어줘 회복도 빨라진 것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 일상회복서비스를 받은 A 씨

서울시가 퇴원 후 일상생활을 돌봐줄 보호자가 없는 서울 시민들을 위해 ‘퇴원 후 일상회복서비스’를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일상회복서비스를 신청하고 싶은 시민들은 퇴원 24시간 전이나 퇴원 후 30일 이내에 콜센터(☎ 1533-1179)로 신청하면 된다.

해당 서비스를 신청하면 일상회복매니저가 가정에 방문해 △신체활동(세면, 옷 갈아입기, 실내이동 등) △일상생활(식사 도움, 청소 및 주변 정돈, 세탁 등) △개인 활동(시장보기, 관공서 방문 등 외출동행) 등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서비스는 소득기준 요건 없이 질병‧부상으로 퇴원한 시민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이용요금은 시간당 5000원으로, 연 1회 최대 15일(60시간) 이내에서 신청할 수 있다. 단, 국가 및 지자체 유사서비스 이용자나 감기 등 일반질환 퇴원자는 제외된다.

시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민선 8기 공약인 ‘1인 가구의 3불(불편·불안·불만) 해소’ 역점 사업으로 도입한 ‘병원 안심 동행서비스’에 이어 ‘퇴원 후 일상회복서비스’까지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퇴원 후 일상회복서비스는 지난해 9월 병원 안심 동행서비스와 연계한 시범사업으로 시작했다. 지난해에는 약 50명의 시민이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족도 조사 결과는 92.1%로 조사됐다. 특히 ‘해결 도움도’를 묻는 항목에서는 100% 만족도를 보였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서울시 퇴원 후 일상회복서비스는 기존 복지의 영역에 포함되지 못했던 일반 시민도 긴급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됐다”며 “퇴원 후 돌봐줄 보호자가 없어 막막한 시민들께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건강과 일상을 빨리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기의 정점"…이병헌이 사는 ‘삼성동 SK아펠바움’은 [왁자집껄]
  • [르포] 폐플라스틱을 씻고 부숴 페트칩으로…삼양에코테크 시화공장
  • 27년 만 보험료율 인상이지만…자동조정장치 도입 없이는 '현상유지'
  • 프로야구 개막 D-2…직관 가기 전 봐야하는 '2025시즌 변화' [이슈크래커]
  • 이진호, 故 김새론 美 결혼설 폭로에 누리꾼들 싸늘…"이게 무슨 상관?"
  • 韓총리 24일 탄핵 선고, 尹은 안갯속...술렁이는 정치권
  • "토허제 재지정, 부동산 망쳐"…곳곳서 탄식 쏟아졌다
  • 2025 벚꽃 개화 시기·벚꽃 명소·벚꽃 축제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3.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285,000
    • -0.13%
    • 이더리움
    • 2,910,000
    • -2.58%
    • 비트코인 캐시
    • 492,100
    • -0.81%
    • 리플
    • 3,597
    • -1.83%
    • 솔라나
    • 188,400
    • -2.28%
    • 에이다
    • 1,062
    • -1.12%
    • 이오스
    • 826
    • -1.43%
    • 트론
    • 346
    • +2.67%
    • 스텔라루멘
    • 417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850
    • -0.68%
    • 체인링크
    • 20,990
    • -1.08%
    • 샌드박스
    • 422
    • -2.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