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워스트] 포바이포, 버추얼 휴먼 호재에 52% ‘급등’

입력 2023-02-04 17: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플리토·엔피디·엔피·코아시아옵틱스, 40%대 상승 기록

(에프앤가이드(DataGuide))
(에프앤가이드(DataGuide))
2월 첫째 주(1월 30~2월 3일) 동안 코스닥지수는 3.8% 상승했다. 3일 종가는 766.79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개인과 외인은 각각 532억 원, 58억 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기관은 448억 원 순매도했다.

4일 금융정보 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한 주간 코스닥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포바이포(52.0%)다. 포바이포의 버추얼 휴먼 ‘루시’는 롯데홈쇼핑과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했다. 라이브커머스를 위해 포바이포는 VFX(시각특수효과) 기반의 정교한 모델링과 텍스처에서 추출한 수만장의 고해상도 이미지 데이터로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켰다.

플리토·엔피디·엔피·코아시아옵틱스도 4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플리토(46.99%)는 네이버가 올 상반기 오픈AI의 ‘챗GPT’ 단점을 개선한 ‘서치GPT’를 출시한다는 소식에 챗GPT 관련주 영향으로 상승했다.

엔피디(46.57%)는 삼성전자가 ‘S23’을 출시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큰 폭으로 올랐다. 코아시아옵틱스(44.63%)는 지난달에 초고화소 광학렌즈에 관한 특허 2건을 등록했다는 소식을 전한 이후 이번 주에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뉴지랩파마, 대사항암제 개발 주목에도 63.12% 급락

뉴지랩파마(-63.12%)는 60% 넘게 하락했다. 박대우 뉴지랩파마 대표는 최근 홈페이지에 발표한 공지문에서 “KAT은 간암을 첫 적응증으로 선정해 임상 1상을 진행 중으로, 서울대학교병원의 첫 환자 투약을 4주차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두 번째 사이클 투약을 시작했다”며 “첫 환자는 투약 과정 중 이상 반응 등의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고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아우딘퓨쳐스(-20.26%)도 20% 넘게 떨어졌다. 아우딘퓨쳐스의 일부 소액주주는 회사를 상대로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회사 측은 “원고 이외의 다수주주 및 회사 이해관계자의 이익과 권리 보호를 위해 민형사상 소송을 통해서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루이비통 회장의 이유 있는 한국 사랑…“한국 생각만 해도 눈물이 난다?”
  • 일본서도 외면받는 후쿠시마 수산물…한국에 진짜 들어올까
  • '믿보배' 전도연·설경구의 킬러 액션···넷플릭스 '길복순' 제작보고회 현장 [영상]
  • 아르헨 신문 추천 ‘꼭 알아야 할 한국 배우 10명’
  • 하락장에도 ‘이천·강릉’은 올랐다···이유는 일자리ㆍ교통?
  • '첫 민간발사체 성공’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 "내년 상장ㆍ상업 발사 목표"
  • 반도건설, 미국 LA에 한국식‘K-주택’ 1000가구 수출
  • 애플페이 출시 첫 날부터 흥행…오전에만 17만 명 등록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6,857,000
    • -1.85%
    • 이더리움
    • 2,322,000
    • -2.85%
    • 비트코인 캐시
    • 170,300
    • -5.44%
    • 리플
    • 515
    • +0.92%
    • 솔라나
    • 29,490
    • -4.47%
    • 에이다
    • 446.8
    • -2.42%
    • 이오스
    • 1,529
    • -1.04%
    • 트론
    • 87.67
    • -0.89%
    • 스텔라루멘
    • 115.8
    • -1.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240
    • -3.49%
    • 체인링크
    • 9,250
    • -3.19%
    • 샌드박스
    • 856.8
    • -6.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