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승규의 모두를 위한 경제] 공매도 규제에 관한 경제학적 접근

입력 2022-08-02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격교란행위 차단 위한 업틱룰 강도 조절을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자 공매도 재금지가 ‘핫이슈’로 떠올랐다. 공매도란,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차입하여 매도한 뒤, 실제 주가가 떨어지면 싼값에 주식을 다시 사서 갚음으로써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이다.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가 과도한 주가 하락을 부추긴다며 공매도 금지를 요구하는 반면, 기관이나 외국인 등 전문투자자들과 금융당국은 공매도의 가격발견기능이 여러 악재들을 반영한 것일 뿐이라며,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공매도를 금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한 경제학적 관점은 누구의 손을 들어주는 정치적 결단을 요구하기보다는 좀 더 정교한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금융당국에서 주장하는 공매도의 가격발견기능이란, 적정 가치 이상으로 고평가된 종목에 공매도 주문이 집중되어 해당 종목 주가를 하락시키지만, 공매도 된 물량 역시 반드시 청산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하는 것은 막을 수 있다는 논리이다. 사실 이러한 논리는, 모든 공매도 투자자가 ‘가격수용자(price-taker)’라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즉, 특정 종목의 주가가 내재 가치에 비하여 현저히 높다고 판단되면 공매도 주문을 내고, 주가가 충분히 낮아졌다고 판단될 때 매수청산할 뿐, 공매도 투자자들은 적극적으로 시장 가격에 영향을 끼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러나 이는 공매도가 특정 종목의 주가를 하락시켜 반대매매를 이끌어낸다면, 주가를 더욱 하락시켜 공매도 투자자들에게 더 큰 수익을 준다는 점을 간과한다. 공매도가 반대매매를 야기하여 추가 하락을 부추기고 차익을 실현하는 것은 수동적인 가격수용행위(price-taking behavior)가 아닌 능동적인 가격교란행위로 보아야 한다. 일각에서는 ‘미수’와 ‘공매도’가 다를 것이 없다고 하지만, 미수는 반대매매(?)를 통한 추가적인 주가 상승을 만들 수 없지만, 공매도는 반대매매를 통한 추가적인 주가 하락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크게 다르다. 결국 공매도 투자자들의 가격교란행위를 막는 것이 공매도 순기능 실현의 전제 조건이다.

현행 공매도 제도에서도 가격교란행위를 차단하기 위하여 업틱룰을 적용하고 있다. 즉, 직전 거래가격보다 낮은 가격의 공매도 주문은 금지한다. 그러나 현행의 업틱룰 하에서도 기관이나 외국인 등 소위 큰 손들은 공매도 주문과 실제 매도 주문을 적절히 혼합하여 가격을 충분히 하락시키고 반대매매를 이끌어내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지금처럼 업틱룰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공매도 투자자들은 가격수용행위가 아닌 가격교란행위를 통한 추가 수익 창출의 유혹을 떨치지 못할 것이다.

공매도 허용이냐 금지냐의 정치적 결단의 문제가 아닌, 업틱룰의 강도를 조절하는 방향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가령 극단적인 예로 직전 거래 가격이 아닌 전일 종가 이하의 공매도 주문을 금지시킨다고 가정해 보자. 공매도 주문을 통한 가격교란행위는 차단되겠지만, 가격발견기능 역시 제대로 작동하기 어려울 것이다. 조금 완화시켜 하루 중 오전장에서는 전일 종가 이상으로만, 오후장에서는 전일 종가와 오전장 거래량 가중평균 가격 중 낮은 가격 이상으로만 공매도 주문을 허용한다고 하자. 공매도 투자자들의 가격교란행위를 제한하면서, 가격발견기능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

가격발견기능을 좀 더 활성화시키고 싶다면, 시간 간격을 더 세분화해서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 10시부터 11시까지 등으로 좀 더 짧게 구분해 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안의 연장선상에서 본다면, 오히려 현행의 업틱룰이 시간 간격을 1초도 채 못 미치도록 잘게 쪼개 놓음으로써 공매도 투자자가 직접 공매도 주문의 하한선을 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해 준 극단적인 형태라 볼 수 있다.

요컨대 금융당국이 주장하는 공매도의 순기능은 가격발견기능인데, 이 가격발견기능은 공매도 투자자들의 가격수용행위를 전제로 한다. 공매도 주문을 통해 반대매매를 이끌어내고 헐값에 공매도를 청산하는 행위는 분명히 가격수용행위가 아닌 가격교란행위이다. 이에 대하여 금융당국에서는 일시적으로 반대매매 조건을 완화하여 대응하고 있지만, 이는 대증적인 대처에 불과할 뿐 근본적 원인에 대한 치유책은 아니다. 공매도의 순기능만을 살리기 위해서는 업틱룰의 시간 간격을 늘려 공매도 투자자들이 가격수용자로서 행동하도록 제한하여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네이버 “지분매각 포함 모든 가능성 열고 소프트뱅크와 협의 중”
  • 투명 랩 감고 길거리 걸었다…명품 브랜드들의 못말리는(?) 행보 [솔드아웃]
  • 애플, 아이패드 광고 ‘예술·창작모욕’ 논란에 사과
  • 긍정적 사고 뛰어넘은 '원영적 사고', 대척점에 선 '희진적 사고' [요즘, 이거]
  • 기업대출 ‘출혈경쟁’ 우려?...은행들 믿는 구석 있었네
  • 1조 원 날린 방시혁…그래도 엔터 주식부자 1위 [데이터클립]
  • 현대차, 국내 최초 ‘전기차 레이스 경기’ 개최한다
  • 덩치는 ‘세계 7위’인데…해외문턱 못 넘는 ‘우물 안 韓보험’
  • 오늘의 상승종목

  • 05.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014,000
    • +2.83%
    • 이더리움
    • 4,228,000
    • +1.76%
    • 비트코인 캐시
    • 628,500
    • +0.72%
    • 리플
    • 717
    • +0%
    • 솔라나
    • 213,800
    • +7.06%
    • 에이다
    • 647
    • +2.54%
    • 이오스
    • 1,156
    • +2.94%
    • 트론
    • 177
    • +0.57%
    • 스텔라루멘
    • 152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400
    • +3.31%
    • 체인링크
    • 19,890
    • +2.1%
    • 샌드박스
    • 621
    • +3.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