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호영의 강’ 건널까...새 정부 국정동력 뇌관

입력 2022-04-17 16: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최근 제기된 자녀 관련 의혹 등을 설명하기 위해 17일 오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대강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질문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최근 제기된 자녀 관련 의혹 등을 설명하기 위해 17일 오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대강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질문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자녀를 둘러싼 각종 의혹들을 전면 부인하며 사퇴를 거부했다. 정 후보자의 거취는 인사권자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결단에 맡겨졌다는 점에서 윤 당선인의 결심에 관심이 모아진다.

정 후보자는 이날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녀 문제에 있어 저의 지위를 이용한, 어떤 부당한 행위도 없었고 가능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의대 편입이나 병역 처리 과정은 최대한 공정성이 담보되는 절차에 따라 진행됐고, 객관적인 자료로 드러나는 결과에 있어서도 공정성을 의심할 대목이 없다”며 “저는 검증을 위한 객관적인 조사를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인사청문회에서 제기된 모든 의혹에 대해 보다 자세히 해명하겠다”며 스스로 물러날 뜻이 없음도 분명히했다.

윤 당선인은 “부정의 팩트가 확실히 있어야 하지 않나”라고 언급했다고 한다. “국민의 말씀을 경청하겠다”고도 했다. 배현진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인수위 브리핑에서 “정 후보자가 명확한 범죄, 부정 행위가 있었는지 본인이 정확히 해명해서 국민에게 납득시킬 수 있는지, 이런 모든 것을 저희가 지켜보고 무엇보다 국민의 말씀을 경청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또 “(조국 전 법무장관의 딸) 조민 씨와 비교를 많이 하는데 (조민 씨는) 명확한 학력 위변조 사건이 국민 앞에 확인됐는데, 정 후보자의 많은 의혹은 과연 그에 준하는 범법 행위가 있었는지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위법 사실이 명확히 드러나고 민심이 악화하면 조치를 하겠다는 겻이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명백한 부정’을 언급한 것은 ‘40년 지기’를 의혹만으로 내칠 수는 없는 만큼 최소한 국회 청문회까지는 가보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반면 ‘민심을 경청하겠다’는 것은 여론이 계속 나빠지면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윤 당선인은 정 후보자와 ‘깐부’사이다. 이 점 때문에 오히려 세간의 불신을 말끔히 지우고 여론을 되돌리기 쉽지 않다. 자칫 정권 초반 국정동력을 잃을수도 있다.

‘정호영의 강’앞에 선 윤 당선인은 고심하고 있다. ‘조국의 강’을 마주해 망설이던 문재인 대통령의 갈림길과 닮았다. 물론 윤 당선인은 문 대통령이 걸었던 길을 갈수 있다. 대통령은 인사청문 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아도 장관을 임명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재임 기간 40여명을 ‘야당 패싱’을 통해 임명했고, 조 전 장관은 그들 중 한명이었다.

윤 당선인이 같은 선택을 한다면 결과는 뻔하다. 조 전 장관을 수사하고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며 어렵게 얻은 공정과 상식, 정의의 가치를 잃고 ‘윤석열식 내로남불’이라는 비난에 직면할 수 있다. 의혹의 실체여부와 여론추이를 보겠지만 결국 사퇴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정일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77,000
    • +0.39%
    • 이더리움
    • 5,333,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17%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2,600
    • -0.39%
    • 에이다
    • 635
    • +1.44%
    • 이오스
    • 1,139
    • +0.98%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00
    • -1.05%
    • 체인링크
    • 25,900
    • -0.27%
    • 샌드박스
    • 628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