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1’ 2연패 도전

입력 2021-09-01 09: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유일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건설 솔루션 사이트클라우드 내세워

▲두산인프라코어가 국토교통부 주최 스마트 건설기술 경연대회인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1'에 참가한다. 사진은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스마트 굴착기 모습.  (사진제공=두산인프라코어)
▲두산인프라코어가 국토교통부 주최 스마트 건설기술 경연대회인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1'에 참가한다. 사진은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스마트 굴착기 모습. (사진제공=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그룹 건설기계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는 국토교통부 주최 스마트 건설기술 경연대회인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1'에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1은 4차 산업기반의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건설 기술을 발굴 및 지원하고 속도감 있는 현장 적용을 유도하기 위한 기술경연대회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해 열린 본 대회에서 '토공자동화 및 첨단측량'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번 경연은 △스마트 안전 △건설자동화 △로보틱스 △건설 사물인터넷(IoT)ㆍ인공지능(AI)ㆍ센싱 △BIM 소프트웨어 라이브 등 총 5개 분야로 나누어 진행된다.

경연 본선은 이날부터 3일까지 진행된다. 전시회는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구성된 온라인 전시관에서 30일까지 열린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번 대회에서 건설자동화 분야에 출전해 스마트 관제 솔루션 '사이트클라우드'와 결합한 원격제어 기반 굴착 자동화 기술을 선보인다.

현장을 드론으로 3차원 측량해 토공물량 분석부터 토공계획 및 관리환경을 도출한 후, 5G 기반의 건설기계 원격제어 기술과 반자동화 기술을 결합해 현장 시공을 완료하는 방식이다.

사이트클라우드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작년에 출시한 국내 유일의 클라우드 기반 통합관제 솔루션이다.

3차원 드론 측량 후 전용 클라우드 플랫폼에 접목해 토공물량 계산, 최적화 작업계획 수립, 현장작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한다.

두산인프라코어 관계자는 "사이트클라우드를 통해 건설기계장비 제조, 판매를 넘어 '건설현장관리'까지 사업분야를 확대하고 있다"며 "작업 공기 단축은 물론 건설장비 연료비 절감, 현장 안전성 향상까지 건설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미래를 그려 나가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20,000
    • -0.89%
    • 이더리움
    • 3,366,000
    • -3.55%
    • 비트코인 캐시
    • 657,000
    • -2.16%
    • 리플
    • 2,948
    • -1.11%
    • 솔라나
    • 196,000
    • -2.87%
    • 에이다
    • 804
    • -2.55%
    • 트론
    • 381
    • +0.26%
    • 스텔라루멘
    • 337
    • -2.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40
    • -3.6%
    • 체인링크
    • 17,410
    • -3.39%
    • 샌드박스
    • 342
    • -3.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