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주사기 줄 테니 백신 달라"…정부, 미국에 딜 제안

입력 2021-03-29 10: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8일 오후 전북 군산시 코로나19 백신접종용 최소잔여형(LDS) 백신주사기 생산 현장인 풍림파마텍을 방문해 일반 주사기와 LDS 백신주사기(오른쪽)를 비교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8일 오후 전북 군산시 코로나19 백신접종용 최소잔여형(LDS) 백신주사기 생산 현장인 풍림파마텍을 방문해 일반 주사기와 LDS 백신주사기(오른쪽)를 비교하고 있다. (뉴시스)

우리 정부가 미국 측에 "최소 잔여형 주사기(LDS)를 공급해줄 테니 2분기 코로나 백신 물량을 달라"고 제안한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29일 조선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현재 '5월 말까지 성인 전원 접종을 이루겠다'며 자국 백신 제조사인 화이자·모더나·얀센 6억 회분 공급을 목표로 백신 생산을 진행 중이다.

아직 미국 사용 승인을 받지 못한 노바백스는 백신 원료 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 때문에 2분기부터 국내에 들어오기로 한 얀센·모더나·노바백스의 2분기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위기에 놓이자 정부가 LDS와 백신 물량을 교환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조선일보를 통해 알려졌다.

이 같은 제안을 한 배경에는 얀센이 "미국 내 5월 6억 회분 백신 공급 정책으로 인해 5월 이후, 50만 명분 미만의 백신만 공급이 가능하다"며 "3분기에 다수 공급하겠다"고 통보한 게 영향을 미쳤다. 미국 등 백신 생산국이 자국 중심주의 정책으로 우리나라 2분기 백신 수급에 차질을 빚자 타개책으로 LDS라는 협상 카드를 꺼낸 것이다.

미국 측 답변이 긍정적이면 얀센·모더나의 2분기 물량이 일부 더 확보될 여지가 있다. 정부는 얀센·모더나·노바백스 물량이 2분기에 들어오면 2분기 접종 대상자 1100여만 명(65세 이상 요양병원 환자 등 27만여 명 제외) 중 일부는 접종 백신을 바꿀 수 있으며, 3분기 접종 대상자 중 일부를 2분기로 앞당길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미국 답변이 부정적일 경우도 대비해야 한다. 정부는 이럴 경우 현재 국내에 도입됐거나 도입 예정인 백신 890만 명분(아스트라제네카 534만 명분, 화이자 356만 명분)을 LDS를 통해 최대한 아껴서 접종하겠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트럼프 틱톡, 개설 사흘 만에 팔로워 500만…35만 바이든 캠프 압도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14: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295,000
    • +2.27%
    • 이더리움
    • 5,251,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669,000
    • +4.12%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9,400
    • +3.55%
    • 에이다
    • 639
    • +0.31%
    • 이오스
    • 1,114
    • +1.09%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550
    • +3.06%
    • 체인링크
    • 24,660
    • +0.94%
    • 샌드박스
    • 639
    • +1.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