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 덤벼봐'

입력 2008-12-15 17: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PC 수준 멀티미디어 제공 삼성 'T옴니아'

#전문

애플의 아이폰이 세계적인 히트 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이동통신사들도 하이엔드 멀티미디어 터치폰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아이폰 국내 출시가 임박한 가운데 삼성전자 T옴니아가 본격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했다. '현존하는 최고의 풀터치스크린폰'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출시 전부터 관심이 고조됐던 'T옴니아'가 90만원이 넘는 고가에도 불구하고 인기를 끌고 있다.

#본문

하루 평균 1000대가 팔려 나가고 있는 'T옴니아'는 삼성전자, SK텔레콤, 마이크로소프트가 함께 만들어낸 최고의 스마트폰으로 평가되고 있다.

'T옴니아'는 삼성전자가 애플의 아이폰을 겨냥해 만든 '옴니아'를 기반으로 탄생했다. 옴니아는 지난 6월 싱가폴에서 4주 연속 판매 매진이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최고 사양 스마트폰, PC와 휴대폰이 '하나로'

'T옴니아'는 라틴어로 'everything'이라는 의미의 'OMNIA'와 SK텔레콤에서 제공하는 미래형 모바일 세상을 뜻하는 'T life'가 합쳐진 것으로 휴대폰 하나로 PC와 멀티미디어 기능을 모두 즐길 수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T옴니아'는 3.3인치 WVGA 고해상도 TFT LCD, 500만 화소 카메라, 위성DMB, 블루투스2.0, 와이파이(Wi-Fi), DivX 재생이 가능한 터치플레이어, 삼성 독자 음장기술인 DNSe(Digital Natural Sound engine) 등 국내 최고 사양을 자랑하는 한국형 옴니아폰이다.

'T옴니아'는 날씨 화면, 빌트인 멜론 서비스, 싸이월드 2.0,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 등 SK텔레콤 전용 서비스 이용을 극대화했다.

날씨, 포토 전화번호, 메뉴 등을 바로 볼 수 있는 '투데이 대기화면'은 손가락으로 마치 책장을 넘기는 것처럼 화면 이동이 가능한 플릭 기능을 적용해 편리함과 더불어 디지로그(Digilog)적 감성도 살렸다.

날씨화면은 날씨(비, 눈, 해 등)와 시간(낮, 밤 등)에 따라 화면의 이미지가 자동으로 변하고 포토 전화번호 화면은 자주 연락하는 전화 번호를 최대 21개까지 보여준다.

'위젯(Widget)' 기능도 대폭 강화됐다. 사용빈도가 높은 뉴스, 날씨, 증권 등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토록 했고 와이드 캔버스 화면(1920×800)을 채용해 다양한 위젯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휴대폰을 가로로 기울이면 멀티미디어 메뉴로 바로 이동하고, 동영상이나 음악 재생시 휴대폰을 뒤집어 놓으면 무음으로 되는 에티켓 모드, 3D 멀티태스킹 화면 등 사용자에게 재미를 주는 다양한 요소도 강화됐다.

◆최첨단 기능에 배터리가 못 따라간다

'T옴니아'는 PC 수준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반면,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지속 시간이 짧은 것이 단점이다.

T옴니아가 워낙 고사양이라는 점에서 배터리 지속 시간이 짧을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문제는 T옴니아가 제공하는 휴대폰 기능과 멀티미디어, 인터넷 기능을 모두 이용하기엔 배터리가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등 각종 기능을 많이 이용하는 유저라면 배터리 여유분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필수다.

배터리를 완전 충전한 이후 고화질(DivX) 영화를 한편 보고 나면 배터리가 부족하다는 경고를 볼 수 있다. 영화를 보지 않더라도 인터넷이나 음악감상, 메신저 등의 이용이 많다면 T옴니아의 배터리는 하루를 버티기 힘들다.

T옴니아의 배터리 지속 시간이 짧은 것은 배터리 용량이 작기 때문이 아니다. T옴니아에는 1440mAh 배터리를 채택했다. 일반 휴대폰에 비해 30% 정도 더 용량이 많다.

최고 사양의 스마트폰도 결국 그 기능을 이용하려면 배터리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일부 T옴니아 사용자 커뮤니티에서는 'T옴니아'의 사양과 기능에 대해서는 칭찬을 아끼지 않지만 배터리 지속 시간이 짧은 것에 대해서는 전력소요 관련 설계상의 오류로 인한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T옴니아'는 고사양의 최첨단 기능을 자랑하지만 배터리가 뒷받침을 하지 못해 사용자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오물 풍선'에 '임영웅 USB'로 대응…탈북민 단체, 새벽에 대북전단 살포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176,000
    • -0.04%
    • 이더리움
    • 5,332,000
    • +1.43%
    • 비트코인 캐시
    • 681,000
    • +1.49%
    • 리플
    • 726
    • -0.82%
    • 솔라나
    • 239,300
    • -0.33%
    • 에이다
    • 635
    • -0.47%
    • 이오스
    • 1,103
    • -1.78%
    • 트론
    • 158
    • +0.64%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700
    • +0.23%
    • 체인링크
    • 24,100
    • -2.43%
    • 샌드박스
    • 642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