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한국경제학술상에 최자원·황지수·편주현 교수·박성식 대표

입력 2021-02-03 14: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젊은 경제학상인 ‘청람상’엔 박웅용 교수..경제학연구 논문상엔 김지운 교수

▲왼쪽부터 최자원 한양대, 황지수 한국외대, 편주현 고려대 교수 (각 대학 홈페이지)
▲왼쪽부터 최자원 한양대, 황지수 한국외대, 편주현 고려대 교수 (각 대학 홈페이지)
한국경제학회(이하 학회)는 최자원 한양대 교수와 황지수 한국외대 교수, 편주현 고려대 교수, 박성식 공간의 가치사 대표를 ‘2020년도 한국경제학술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만 45세 미만 젊은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청람상’엔 박웅용 서울대 교수를, ‘경제학연구 논문상’엔 김지운 홍익대 교수를 각각 선정 발표했다.

3일 학회에 따르면 최자원 한양대 교수와 황지수 한국외대 교수가 공동 작성한 ‘Transition of Son Preference: Evidence from South Korea(아들 선호의 전환: 한국으로부터의 증거)’ 논문은 한국에서 남아선호가 미치는 영향을 출산 성향, 자녀에 대한 투자, 부모의 노동 열의, 자녀의 집안일 부담 등 다양한 영역에서 분석하고, 이런 특징이 지난 20년간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했다.

편주현 고려대 교수와 박성식 공간의 가치사 대표가 공동 집필한 ‘Between Two Extreme Practices of Rent-only and Deposit-only Leases in Korea: Default Risk vs. Cost of Capital(한국의 전세 및 월세의 두가지 극단적인 관행: 부도 위험vs자본 비용)’ 논문은 한국의 부동산 임대차 시장에서 전월세 결정구조에 대한 이론 모형을 수립하고, 부동산 가격상승률이 높을수록, 임차인이 직면한 이자율이 낮을수록 전세와 같은 보증금이 많은 임대차 계약을 선호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 부동산값 상승률이 높은 경우 보증금 전환이율이 높아져 세입자의 주거를 위한 임차비용이 낮아지는 역설적 메카니즘이 발생하는 것을 증명했다.

학회는 이들 두 편 모두 지난해 한국경제를 대상으로 작성한 우수 논문으로 저명 해외 학술지에 게재한 공로를 인정해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청람상에 선정된 박웅용 서울대 교수는 최근 5년간 아메리칸 이코노믹 저널 등 세계 최상위 경제학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출간했고, 특히 통화금융정책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고 평했다.

경제학연구 논문상에 선정된 김지운 홍익대 교수의 ‘한국 생애소득 불평등 원인에 대한 분석’ 논문은 한국에서 생애임금소득 불평등 원인을 분석한 결과, 노동시장 진입시 주어진 초기 조건의 차이(66.9%)가 생애주기 상 외생적인 노동생산성 변화(33.1%)보다 생애 임금소득 불평등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밝혔다.

한국경제학술상은 한국경제를 대상으로 한 경제학 연구의 학문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한국경제에 대한 경제학자의 연구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시상하고 있으며, 이번이 5번째다. 청람상은 1983년 제정돼 이번이 38회째며, 경제학연구 논문상은 8회째다.

한편, 시상식은 4일 오후 1시15분 서울대에서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2021년도 한국경제학회 정기총회’에서 있을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밀병기’ 수중핵무기까지 공개한 북한…전력화 가능할까
  • “올해 주택 가격 3.3% 하락 전망”...내년에는?
  • “이렇게 재밌는데” 전 세계 ‘틱톡 금지령’ 확산…왜 틱톡을 싫어할까
  • “니XX 상대할 고데기 찾으러 간다” 학생에 막말한 고교 영양사 논란
  • 남경필 전 경기지사 장남, 또 ‘필로폰 투약’ 혐의로 체포…“가족이 신고”
  • 얼룩말 세로는 왜 대공원을 탈출했을까? 사육사가 공개한 사연 보니…
  • 전두환 손자 전우원 씨 “3시간 폐 멈춰…다시는 마약 안 해”
  • “허니콤보도 오른다” 교촌치킨, 최대 3000원 가격 인상
  • 오늘의 상승종목

  • 03.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6,592,000
    • -1.5%
    • 이더리움
    • 2,334,000
    • -2.3%
    • 비트코인 캐시
    • 165,700
    • -2.13%
    • 리플
    • 564.5
    • -3.7%
    • 솔라나
    • 27,520
    • -5.4%
    • 에이다
    • 480
    • -1.56%
    • 이오스
    • 1,559
    • +2.36%
    • 트론
    • 84.79
    • -1.97%
    • 스텔라루멘
    • 118
    • -3.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810
    • -2.03%
    • 체인링크
    • 9,650
    • -2.92%
    • 샌드박스
    • 842.5
    • -2.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