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매일 600명을 넘어서면서 병상 부족 문제가 불거지자 정부가 중환자 병상 확보에 나섰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의 전환, 민간의료기관의 협조, 적극적인 인력·물자 손실보상 지원 등 국가 차원의 중환자 치료역량을 총동원해 연말까지 154개 중환자 병상을 추가 확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86명으로 2월 대유행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국내발생은 662명으로 특히 수도권에서는 52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8일 기준 전국 중증환자 병상은 모두 546개로 이 중 사용이 가능한 병상은 10%도 되지 않는 43개에 불과하다. 특히 확진자가 몰리고 있는 수도권의 경우 서울 8개, 경기 3개, 인천 1개 등 12곳뿐이다. 부산과 대전, 경남, 전북, 전남, 충남, 충북에는 가용 병상이 아예 하나도 없는 상황이다.
윤 총괄반장은 "우리나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서 인구 1000명당 병상 수가 일본 다음으로 많은 국가"라면서도 "중환자 병상은 일반병상 수보다는 상대적으로 상당히 적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먼저 정부는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가운데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병상을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으로 최대한 전환하고, 상급종합병원과 협조해 추가 병상을 확보할 계획이다.
윤 총괄반장은 "최근 24개 병상을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으로 지정했다"며 "앞으로도 병상을 추가 지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미 확보한 병상은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태가 일시 호전된 환자나,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크지만 아직 위·중증으로 분류되지는 않은 환자들을 수용할 '준-중환자' 병상을 지원한다. 심폐질환이나 악성종양, 만성 신부전 환자, 임산부와 영아 등 고위험군 환자가 이에 해당한다.
또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거점형 중환자 전담병원'을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권역별 국립대 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과 연계해 기관당 10∼20개의 중환자 병동을 확보해 대비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특정 지역에 코로나19 중환자만을 치료하는 임시병원 격인 '모듈 병원'을 설치하고 인력을 파견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윤 총괄반장은 "지금 정부가 확보하고 있는 계획은 환자가 500명 이상 수준으로 계속 유지되는 것을 가정했을 때"라며 "체육관이나 컨벤션센터 등을 중환자 병상으로 활용하는 방안은 하루에 몇천 명 이상 환자가 나오는 경우, 또 감당이 안 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검토를 더 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증과 중등증(경증과 중증 사이) 환자들을 위해서는 현재 총 23개소, 4727명 규모로 운영 중인 생활치료센터의 경우 이번 주 안에 3곳을 추가 개소해 570여 명을 더 수용할 예정이다.
한편 병상이 부족해 입원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병상 준비와 배정을 위해 어느 정도 대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윤 총괄반장은 "확진자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역학조사가 필요하고 중증도 분류가 필요한 상태에서 병원으로 갈지 아니면 생활치료센터로 갈지에 대한 부분들을 판단해야 하므로 어느 정도의 대기는 필요하다"며 "병상의 소독 절차나 준비 상황도 필요하고, 이 같은 시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전담팀을 지정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