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메모리 제품 9개 환경 인증 획득

입력 2020-12-02 15: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외 인증기관에서 탄소 배출 절감 노력 인정받아

▲반도체 업계 최초 탄소저감 인증을 취득한 삼성전자 512GB eUFS 3.1 (출처=삼성전자 뉴스룸)
▲반도체 업계 최초 탄소저감 인증을 취득한 삼성전자 512GB eUFS 3.1 (출처=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전자 메모리 제품 9개가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제품 환경 인증을 획득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D램 4종, SSD 3종, 그리고 eStorage 2종 등 총 9종의 주요 메모리 제품이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로부터 ‘제품 탄소 발자국(Product Carbon Footprint, PCF)’ 인증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카본 트러스트는 제품을 생산하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의 양을 종합적으로 측정해 ‘탄소 발자국 인증’을 수여하는 친환경 인증 기관이다.

특히, 512GB eUFS 3.1은 반도체 업계 최초로 이전 제품 대비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킨 노력을 인정받아 ‘탄소저감 인증’을 취득했다. 이 제품은 지난해 11월 삼성전자가 반도체 업계 최초로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은 ‘512GB eUFS 3.0’의 후속 제품이다.

이번에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은 제품 중 ‘포터블 SSD T7 터치’는 국내에서도 ‘저탄소 인증’을 획득하며 ‘녹색제품’으로 인정받았다. 한국 환경부가 반도체 제품에 녹색제품 인증을 부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는 제품 포장재 제조 단계에서 발생되는 탄소량을 줄이기 위해 기존 플라스틱 대신 친환경 펄프 소재의 포장재를 개발해 ‘포터블 SSD T7 터치’에 적용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공정가스 처리 효율을 개선하고 기존 설비는 운영을 효율화하는 등 사업장 내 온실가스 배출 절감을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탄소 절감 노력에 힘입어 포터블 SSD T7 터치의 탄소배출량은 이전 제품인 ‘포터블 SSD T5’ 대비 약 5.1%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연평균 약 84톤의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약 1만 3천 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2009년부터 현재까지 총 41개 반도체 제품에 대해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탄소 발자국과 물 발자국 등 제품 환경 인증을 취득했다. 특히 지난 9월에는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이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조직단위 ‘물 발자국’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부산‧광주‧대구 ‘휘청’…지역 뿌리산업 덮친 ‘회생‧파산 도미노’
  • 홍콩은 거래 시작인데…美 이더리움 현물 ETF는 5월 승인 ‘먹구름’
  • HLB, 간암 신약 美FDA 허가 초읽기…‘승인 확신’ 이유는?
  • 서울대·세브란스병원·고려대병원 오늘 외래·수술 없다
  • 극장 웃지만 스크린 독과점 어쩌나…'범죄도시4' 흥행의 명암
  • 산은이 '멱살' 잡고 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D-데이'
  • 소주·맥주 7000원 시대…3900원 '파격' 가격으로 서민 공략 나선 식당들 [이슈크래커]
  • 근로자의 날·어린이날도 연차 쓰고 쉬라는 회사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13: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250,000
    • +1.2%
    • 이더리움
    • 4,507,000
    • -1.21%
    • 비트코인 캐시
    • 656,000
    • -0.83%
    • 리플
    • 732
    • +1.1%
    • 솔라나
    • 193,200
    • -0.72%
    • 에이다
    • 647
    • -0.31%
    • 이오스
    • 1,143
    • +0.79%
    • 트론
    • 170
    • -1.16%
    • 스텔라루멘
    • 158
    • -1.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650
    • -0.22%
    • 체인링크
    • 19,870
    • -0.8%
    • 샌드박스
    • 628
    • -0.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