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硏 "내년 IT·장비 제조업 중심으로 회복"

입력 2020-10-07 10:20 수정 2020-10-07 1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1년 산업 전망 보고서' 발표
언택트ㆍ디지털ㆍ저탄소 산업의 성장 본격화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내년 IT 및 장비 제조업 중심으로 국내외 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는 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 산업의 미래'에 대해 진단했다.

연구소는 정부투자 확대와 주요국 봉쇄 완화 등에 힘입어 국내 주요산업의 업황이 동반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언택트ㆍ디지털ㆍ저탄소 산업의 성장세가 돋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자동차, 조선, 철강 등 기존 주력 제조업의 생산량이 201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등 제조업 회복강도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12개 산업 중 7개 산업의 경기 싸이클이 올해보다 개선

연구소는 분석대상 12개 산업 중 반도체(회복→안정), 휴대폰·자동차·조선·소매유통(둔화→회복), 철강·석유화학(침체→회복) 등 7개 산업의 경기 싸이클이 올해에 비해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2차전지·정보서비스(활황), 음식료(안정), 정유·건설(침체) 등 5개 산업의 경기 싸이클은 올해와 같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는 특히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 중인 이차전지 제조업과 정보서비스업, 언택트 수혜를 받고 있는 반도체 제조업의 전망을 밝게 내다봤다.

이차전지 제조업의 경우 국내 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유럽 등 해외시장 공략, 신규 자동차 업체 납품, 생산능력 증가 등으로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기차(EV) 배터리 보급 확대로 인한 규모의 경제 효과와 양호한 글로벌 시장 지위 등으로 국내 이차전지 업체의 매출액이 내년에 3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로 대표되는 정보서비스업은 커머스, 결제, 콘텐츠 등 타 사업으로의 확장이 진행되면서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독과점 플랫폼 영향력 강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정책 리스크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산업 전망도 밝다. 반도체 산업을 담당 중인 신석영 연구원은 “미중 갈등이 리스크 요인이지만 메모리(노트북 및 서버 수요)와 비메모리(파운드리 수요) 부문의 동반 수요 회복과 적절한 공급 조절로 국내 반도체 업체의 매출과 이익의 동반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마진 개선이 미약한 정유업과 기업 간 양극화가 심화되는 건설업은 내년에도 업황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유업의 경우 복합정제마진이 여전히 손익분기점을 하회하고 역내 공급과잉도 계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건설업은 정부 주도의 SOC 투자와 공급확대 등으로 수주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주택 수요자의 대형 브랜드 선호와 공모 중심의 정부투자 등 대기업에 유리한 환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중소건설사의 침체는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투자 확대ㆍ자국 우선주의 확산ㆍ산업 생태계 변화 가속화 등에 주목

연구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정부투자 확대 △자국 우선주의 확산 △산업 생태계 변화 가속화 등을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연구소는 코로나 관련 불확실성 장기화와 기업실적 부진으로 기업 등 민간부문의 투자확대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기 회복과 고용확대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판 뉴딜정책을 통해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4차산업 육성이 본격화된다.

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성이 부각되고 주요국 경제가 크게 위축되면서 전세계적으로 독자생존 추구경향이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기후변화, 에너지 전환, 보건위생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국제공조는 보다 긴밀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연구소는 코로나19의 장기화와 정책지원 등으로 기존에 나타나고 있던 산업 생태계의 변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언택트ㆍ디지털ㆍ저탄소ㆍ친환경 경제로의 변화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영준 산업분석팀장은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은 정유, 항운, 오프라인 유통과 전기차 전환 이슈가 있는 자동차 제조업 등의 경우 산업 재편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12: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688,000
    • -2.24%
    • 이더리움
    • 5,041,000
    • -2.68%
    • 비트코인 캐시
    • 642,500
    • -2.8%
    • 리플
    • 686
    • -2.28%
    • 솔라나
    • 218,800
    • -2.93%
    • 에이다
    • 609
    • -1.93%
    • 이오스
    • 972
    • -2.51%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8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650
    • -6.22%
    • 체인링크
    • 21,970
    • -2.87%
    • 샌드박스
    • 570
    • -3.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