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메르스 당시 박근혜 정부 얼마나 무능했는지 낱낱이 증언 할 수 있다”

입력 2020-02-10 11: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원순 서울시장은 6일 신청사 기획상황실에서 개최한 신종 코로나 11차 대책회의에 참석했다. (사진 = 서울시)
▲박원순 서울시장은 6일 신청사 기획상황실에서 개최한 신종 코로나 11차 대책회의에 참석했다. (사진 = 서울시)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박근혜 정부가 얼마나 무능했는지 누구보다 낱낱이 증언할 수 있다.”

10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메르스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지 6일 후에야 대통령 대면보고가 이뤄졌던 사실, 메르스로 감염된 병원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려고 했던 사실을 똑똑히 기억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원순 시장은 “늑장대처로 많은 확진자를 발생시키고 사망자를 키웠으면서도 당시 황교안 국무총리는 ‘초동 단계에서 한두 명의 환자가 생겼다고 장관이나 총리가 나설 수는 없다’고 말했던 사실을 똑똑히 기억한다”고 지적했다.

박 시장은 “며칠 전 문재인 대통령님과 성동구의 선별 진료소를 방문했다”며 “그 자리에서 저는 ‘메르스 때 학습 효과가 있어서 훨씬 더 잘하고 있다, 과거 정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지난 메르스 사태를 통해 큰 교훈을 얻었다”며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 무능한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 정보가, 늑장대처가 감염병 대응에 얼마나 치명적인지, 국민에게 얼마나 큰 시련과 고통을 주는지 절감했다”고 자평했다.

그는 “5년 만에 닥친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직면했을 때,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정부와 지자체는 첫 확진자 발생 순간부터 신속하고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력하며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처해 나가고 있다”며 “국민도 적극적으로 예방수칙을 따르며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시장은 “한 언론의 사설을 언급하며 제 발언을 두고 감염병 앞에서 정치한다느니 비난했다”며 “WHO의 권고도 무시한 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우한폐렴이라 부르기를 고집하면서 사설은 메르스때와 비교하는 것이 부질없다는 어이없는 논리를 펼친다”고 비판했다.

이어 “불안과 공포를 자극해 혐오를 부추기고 정쟁에만 관심을 쏟는 일부 야당과 언론의 태도는 사회를 분열시키기만 한다”며 “감염병 확산 방지에 진보와 보수, 중앙과 지방정부가 따로 있겠는가”라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 의대 증원 후 첫 수능 모평...'N수생' 역대 최다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유튜브에 유저 다 뺏길라" …'방치형 게임'에 눈돌린 게임업계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91,000
    • +1.03%
    • 이더리움
    • 5,262,000
    • -0.85%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01%
    • 리플
    • 726
    • +0.69%
    • 솔라나
    • 230,300
    • +0.48%
    • 에이다
    • 639
    • +1.91%
    • 이오스
    • 1,121
    • -0.27%
    • 트론
    • 159
    • -1.85%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50
    • +1.24%
    • 체인링크
    • 24,560
    • -3.65%
    • 샌드박스
    • 631
    • +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