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분기~내년 1분기 기업 채용 계획 전년보다 3.9만 명↓

입력 2019-12-30 14: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기부진 영향…고용부 "채용 축소 예단 어려워"

▲구직자들은 채용공고  게시판에서 자신이 원하는 직무에 맞는 기업을 확인한 뒤 부스로 향했다.  (이투데이DB)
▲구직자들은 채용공고 게시판에서 자신이 원하는 직무에 맞는 기업을 확인한 뒤 부스로 향했다. (이투데이DB)

국내 5인 이상 사업체의 올해 10월부터 내년 3월까지 채용 계획 규모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만 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2019년 하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체의 올해 4분기∼내년 1분기 채용 계획 인원은 25만6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만9000명(13.1%) 줄었다.

이 같은 채용 계획 인원 감소 원인은 경기 부진 때문으로 해석된다. 다만 고용부는 채용 계획과 실제 채용은 차이가 커 기업들이 채용을 줄일 것으로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채용 계획 인원이 가장 많은 직종은 ‘운전 및 운송 관련직(3만9000명)’으로 조사됐다. 버스 업종 등의 인력난 등이 반영된 결과다. 이어 ‘경영·회계·사무 관련직(3만3000명)’, ‘보건·의료 관련직(2만4000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2만2000명)’ 등 순이었다.

올해 3분기 5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 인원은 67만3000명, 채용 인원은 59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7만5000명(10.0%), 6만6000명(9.9%) 줄었다.

사업체의 적극적인 구인에도 충원하지 못한 인력을 의미하는 ‘미충원 인원’은 7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9000명(10.8%) 감소했다.

구인 인원에 대한 미충원 인원의 비율인 미충원율도 11.1%로 0.1%포인트(P) 하락했다. 구인·채용의 인력 수급 불일치가 완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올해 10월 상용직 1인 이상 사업체의 노동자 1인당 임금 총액은 전년보다 15만6000원 늘어난 332만3000원을 기록했다. 상용직 임금은 351만4000원으로 4.5% 늘었고, 임시·일용직 임금은 153만4000원으로 6.1% 올랐다.

노동자 1인당 노동시간은 165.4시간으로 전년보다 1.5시간(0.9%) 감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진화 총력…축구장 4600개 규모 불타
  • 예상 깬 의대생들 복귀…'단일대오' 깨지나
  • 국민연금 개혁에 뭉친 與野 3040…“내년부터 국고 투입하자”
  • 권성동, 연금개혁 반발에 “불가피한 측면 있어…구조개혁 완성 최선”
  • 어깨 무거워진 카카오 정신아…리더십 시험대
  • 토허제 시행 초읽기에 콧대 꺾은 잠실·용산 집주인…“집값 또 오른다” 시장 불신은 ‘여전’ [르포]
  • 벚꽃 없는 벚꽃 축제 될라…일본, 지구온난화에 ‘벚꽃 경제’도 흔들
  • ‘한덕수 탄핵 선고’, ‘李 2심’ 몰린 한 주…與野 셈법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747,000
    • +1.08%
    • 이더리움
    • 2,983,000
    • +1.39%
    • 비트코인 캐시
    • 481,900
    • +0.37%
    • 리플
    • 3,577
    • +1.25%
    • 솔라나
    • 198,000
    • +2.59%
    • 에이다
    • 1,057
    • +0.57%
    • 이오스
    • 834
    • +1.58%
    • 트론
    • 349
    • +0.58%
    • 스텔라루멘
    • 415
    • +1.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00
    • +1.29%
    • 체인링크
    • 21,390
    • +2.05%
    • 샌드박스
    • 424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