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2년여 만에 첫 순익 감소…“당일 배송 서비스 영향”

입력 2019-10-25 10: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Q 순익 전년비 28% 급감…베이조스 CEO “장기적으로 옳은 투자”

▲프랑스 소재 물류센터에 표기된 아마존 로고. 프랑스/로이터 연합뉴스.
▲프랑스 소재 물류센터에 표기된 아마존 로고. 프랑스/로이터 연합뉴스.
글로벌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의 3분기 순익이 2년여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아마존은 이날 올해 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한 21억 달러(2조4700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고 밝혔다. 매출은 700억 달러( 82조2000억 원)를 기록하면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4% 증가했다.

아마존의 순익은 지난 2017년 2분기 이후 9분기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아마존이 ‘초고속 배송 서비스’에 주력하면서 지출이 늘어난 것이 순익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아마존은 자사의 유료 회원제 고객인 ‘프라임 멤버’들을 위해 ‘당일 배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배송 속도를 높이는 방법은 매출 증가를 불러올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물류창고 확대, 추가 인력 고용 등 투자 비용에 대한 부담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실제로 지난 분기 아마존은 전세계 배송 비용에 96억 달러(11조3000억 원)를 투입했다. 이는 작년 대비 46% 급증한 수치다. 정규직과 기간제 직원을 포함한 인력도 이번 3분기에 약 10만 명이 늘어나 75만 명이 됐다.

앞서 지난 4월 아마존은 프라임 회원들에게 당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아마존 측은 이번 4분기 역시 당일 배송 서비스를 위해 15억 달러가 투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수백만개의 제품을 하루에 무료 배송을 가능하게 하는 등 아마존은 프라임 고객들의 휴가철을 ‘최고의 휴가’로 만들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들은 프라임 배송이 이틀에서 하루로 전환되는 것을 아주 좋아한다”며 “그들은 올해 이미 엄청난 양의 당일 배송 상품을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큰 투자이자, 장기적으로 봤을 때 고객들을 위한 옳은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애널리스트들은 4분기 전망도 어두울 것으로 보고 있다.미국 조사업체 베어드에쿼티리서치의 벤 칼로(Ben Kallo) 애널리스트는 “일일배송과 관련된 상당한 투자는 4분기 이익을 떨어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아마존의 실적이 월가의 기대치를 밑돌면서 아마존의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9%까지 빠지면서 시가총액이 무려 800억 달러 증발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182,000
    • -2.26%
    • 이더리움
    • 4,969,000
    • -2.2%
    • 비트코인 캐시
    • 586,500
    • -4.17%
    • 리플
    • 719
    • +3.45%
    • 솔라나
    • 202,300
    • -2.51%
    • 에이다
    • 568
    • -3.57%
    • 이오스
    • 876
    • -6.31%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750
    • -3.28%
    • 체인링크
    • 20,050
    • -5.42%
    • 샌드박스
    • 491
    • -9.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