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1대책 수혜지역 김포 검단·오산 세교 '싸늘'

입력 2008-08-26 13:40 수정 2008-08-26 17: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참여정부시절, 신도시 발표에 들끓던 투기 열풍 전무

"이곳 시장 분위기요? 2년전 신도시 확정 발표 났을때 들끓던 열기는 눈을 씻고 봐도 찾을 수 없고, 오히려 서로 눈치 보느라 더 조용해졌습니다." 8.21대책 발표 직후 인천 검단 신도시 인근 공인중개소 관계자의 말이다.

지난 21일 정부는 장기간 침체를 겪고 있는 부동산 시장과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이미 신도시로 지정된 인천 검단 신도시를 비롯해 공공택지로 개발중인 오산 세교2지구를 각각 확대한다는 내용의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수도권 주택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시장 상황에 따른 민간 공급 위축에도 철저히 대비한다는 취지를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현재 부동산대책 발표 수일이 지났지만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은 잠잠하기만 하다. 이는 지난 노무현 정부시절 주택공급 안정과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책마련을 통한 신도시 발표 당시 투기세력을 들끓던 분위기와는 전혀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8.21대책의 수혜지역으로 추가 확대공급을 앞둔 인천 검단신도시는 2년전인 2006년 정부의 첫 신도시 발표 당시 투기광풍으로 심하게 요동쳤지만 지금은 당시의 열기를 찾아보기 힘들다.

실제로 2006년 모 건설업체가 김포 검단 마곡지구에 공급했던 분양 아파트의 경우 신도시 발표 이전까지 미분양으로 허덕이다가 신도시 발표 하루 전날 투기세력들이 몰리면서 100% 마감되는 기록도 세웠다.

반대로 MB정부 출범 6개월만의 이번 8.21부동산대책 발표 직후 신도시 확대공급을 앞두고 있는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은 2년전 투기광풍의 열기는 전혀 찾아 볼 수 없고, 오히려 과잉공급으로 부동산시장이 더욱 가라앉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김포검단 인근 중개소 관계자는"2년전 신도시 발표 당시 외지인들로 북새통을 이뤘던 투기광풍은 생각도 할 수 없다"면서"신도시 확대 발표 초기 문의는 많지만 실제 거래는 단 한건도 없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발표 이전 매물을 시장에 내놨던 매도인들이 발표 이후 기존가격 보다 2000만~3000만원 정도 올리거나 걷어들이다 보니까 매수 희망자들은 미련없이 포기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또한 오산 수청동 중개업소 관계자는"주택을 소유한 사람들이 꾸준히 문의를 하고 있지만 실제 거래는 어렵다"면서"매수자들은 투자가치 여부를 따지며 일단 지켜보자는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오산지역 아파트 가격은 기존보다 1000만~2000만원 호가상승했다"고 설명했다.

8.21부동산대책 발표 5일째로 접어들고 있지만 해당 지역 부동산시장이 이처럼 조용한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는데는 전반적인 시장상황을 정확하게 고려하지 못한 정부의 비효율적인 정책기조 때문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연구소장은"김포검단은 지난 노무현 정부 당시 축소됐던 지구를 확대 지정했을 뿐"이라며"또한 이미 신도시로써의 기능을 자체적으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신도시 지정에 따른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영진 소장은 이와 함께"검단신도시와 더불어 확대 지정된 오산세교지구는 지난해 지정된 세교1,2지구에 이어 3지구 확정안이라고 해석하면 된다"면서"최근 오산, 평택 등 경기남부지역 미분양 물량이 7000가구에 육박하고 있다는 점을감안 할 때 공급확대에 따른 추가 미분양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동산써브 나인성 연구원은"현재 국내 부동산시장이 장기간 침체를 보이며 불안정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오산세교나 검단신도시가 동탄2신도시와 같은 강남대체 효과를 기대하기란 어렵다"며"강남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지역을 신도시로 지정했기 때문에 부동산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지적했다.

나인성 연구원은 또한"결과적으로 이번 8.21대책에서 검단신도시와 오산세교지구 지정은 시장성을 고려하지 않은 효율성 없는 수박 겉 핥기식 정책"이라며"투자가치를 따지는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졸속 정책"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3: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070,000
    • -0.69%
    • 이더리움
    • 5,025,000
    • -0.18%
    • 비트코인 캐시
    • 592,500
    • -2.55%
    • 리플
    • 686
    • -1.44%
    • 솔라나
    • 206,200
    • +1.18%
    • 에이다
    • 579
    • -0.52%
    • 이오스
    • 900
    • -3.12%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800
    • -2.66%
    • 체인링크
    • 20,730
    • -0.1%
    • 샌드박스
    • 521
    • -3.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