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야유(揶揄)

입력 2019-07-09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병기 전북대 중문과 교수

뉴스를 통해 더러 야유를 보냈다느니 야유를 퍼부었다느니 하는 말을 듣는다. 야유는 ‘揶揄’라고 쓰는데 두 글자 다 ‘야유할 야’, ‘야유할 유’라고 훈독할 뿐 특별히 다른 뜻이 없다. 손(手)의 의미를 가진 ‘扌’을 뺀 ‘耶’는 ‘어조사 야’라고 훈독한다. 감탄했을 때 “야~” 하는 어기(語氣)나, 따져 물을 때 “야!” 하는 어세(語勢), 혹은 확신이 서지 않을 때 “어, 어…” 하는 멈칫거림 등 말에 어기나 어세를 담을 때 사용하는 어기조사인 것이다. 그런 어기조사 ‘耶’에 손짓을 나타내는 ‘扌’가 붙었으니 ‘揶’는 손짓을 동반하는 어기조사라는 의미를 갖는다. 삿대질이든, 포옹하는 시늉을 하는 손짓이든, 손짓과 함께하는 강한 기운의 말이 바로 ‘揶’ 즉 ‘야유할 야’인 것이다. ‘揄’에도 ‘손짓(扌)’이 붙어 있다. ‘兪’는 ‘대답할 유’라고 훈독하는 글자인데 거기에 ‘손(扌)’이 붙어 있으니 ‘揄’는 대답을 하긴 하되 “응, 알았다고~” 하면서 빈정대든, ‘어쩔래?’ 하면서 덤비든 곱지 않은 손짓을 동반하는 대답을 이르는 글자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두 글자가 합쳐진 ‘揶揄’는 “남을 빈정거려 놀림. 또는 그런 말이나 몸짓”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가 되었다.

揶揄는 중국 동진시대 권력자 환온(桓溫)의 막료로 있던 나우(羅友)라는 사람이 처음 사용했다고 한다. 나우의 동료가 환온에게 중용되어 고을의 태수로 나가는 환송연이 있는 날, 속이 뒤틀린 나우는 일부러 환송연에 늦게 도착했다. 환온이 늦은 까닭을 묻자, “오던 길에 도깨비를 만났는데 그 도깨비가 ‘나는 네가 다른 사람이 태수로 나가는 것을 송별하는 꼴만 봤지, 네가 태수로 나가는 꼴은 본 적이 없다’고 야유하며 길을 막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처럼 도깨비의 야유로 인해 생겨난 말인 ‘揶揄’를 오늘날에는 사람이 더 많이 하고 있다. 도깨비 꼴로 해대는 야유보다는 사람답게 예의를 갖춰 토론하는 사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35,000
    • +2.76%
    • 이더리움
    • 3,377,000
    • +23.93%
    • 비트코인 캐시
    • 592,000
    • +0.51%
    • 리플
    • 3,316
    • +6.49%
    • 솔라나
    • 233,000
    • +8.22%
    • 에이다
    • 1,106
    • +10.27%
    • 이오스
    • 1,201
    • +1.61%
    • 트론
    • 363
    • +2.83%
    • 스텔라루멘
    • 419
    • +9.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00
    • +4.21%
    • 체인링크
    • 22,750
    • +9.48%
    • 샌드박스
    • 457
    • +11.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