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추경] 정부, 수출 활력 제고에 1868억…일자리 창출에 977억

입력 2019-04-24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통상자원부 전경.(이두데이DB)
▲산업통상자원부 전경.(이두데이DB)
정부가 침체 위기에 빠진 수출 활력을 띄우기 위해 1868억 원을 투입한다.

24일 정부가 발표한 ‘미세먼지 등 국민안전과 민생경제 지원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예산은 4738억 원이다.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된 분야는 수출 경쟁력 강화다. 최근 수출액이 넉 달 연속 감소하는 등 통상 여건이 나빠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 같은 상황을 반전하기 위해 수출 지원 기반 조성과 수출 경쟁력 강화 사업에 각각 108억 원과 60억 원을 배정했다. 또 무역보험기금에도 1700억 원을 출연키로 했다.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예산도 977억 원 편성됐다. 정부는 특히 광주형 일자리 같은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발굴·확산하기 위해 288억 원을 배정했다. 상생형 일자리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기업과 노동자,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해 만드는 일자리다. 노동자가 임금 등 적정 근로 조건에 합의하면 기업이 투자를 확대하고,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복지·주거 등 인프라를 제공하는 게 전제다. 정부는 노후 산업단지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산단환경개선펀드' 예산도 360억 원 배정했다.

조선업과 자동차 산업 등 위기업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사업비로는 452억 원이 배정됐다. 조선업엔 113억 원, 자동차 산업에 45억 원이 편성됐다. 정부는 지역산업구조조정지원 사업비로도 140억 원을 넣었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상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예산도 950억 원 들어갔다. 특히 석탄발전소와 노후 LNG 발전소 등 발전 시설 환경 개선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등 발전 분야에 728억 원이 배정됐다. 올 초 정부는 향후 11조5000억 원을 투자해 석탄발전소의 환경 설비를 확충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전기차 충전소 등 수송·에너지 분야에는 40억 원이 편성했다.

이번 추경에는 2017년 포항 지진 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예산도 131억 원 들어갔다. 정부는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개선 예산으로 121억 원, 지열 발전 안전관리 체계 구축 예산으로 1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심당 대전역점’이 없어진다고?…빵 사던 환승객들 ‘절망’ [해시태그]
  • 하이브 “민희진, 두나무·네이버 고위직 접촉…언제든 해임 가능”
  • 다꾸? 이젠 백꾸·신꾸까지…유행 넘어선 '꾸밈의 미학' [솔드아웃]
  • "깜빡했어요" 안 통한다…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땐 '이것' 꼭 챙겨야 [이슈크래커]
  • 송다은, 갑작스러운 BTS 지민 폭주 게시글…또 열애설 터졌다
  • '1분기 실적 희비' 손보사에 '득' 된 IFRS17 생보사엔 '독' 됐다
  • “탄핵 안 되니 개헌?”...군불만 때는 巨野
  • AI 챗봇과 연애한다...“가끔 인공지능이란 사실도 잊어”
  • 오늘의 상승종목

  • 05.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997,000
    • +0.41%
    • 이더리움
    • 4,204,000
    • +1.23%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3.42%
    • 리플
    • 723
    • +0.98%
    • 솔라나
    • 233,800
    • +3.59%
    • 에이다
    • 675
    • +7.14%
    • 이오스
    • 1,131
    • +1.71%
    • 트론
    • 173
    • +0.58%
    • 스텔라루멘
    • 150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550
    • +1.99%
    • 체인링크
    • 22,660
    • +18.33%
    • 샌드박스
    • 614
    • +1.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