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7월 판매량 전년비 5.1% 증가... 하반기 실적 반등 시동

입력 2018-08-01 16: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카니발 페이스리프트ㆍ쏘렌토 국내 판매 이끈다

기아차는 7월 국내 4만7000대, 해외 18만3878대를 판매해 세계 시장에 총 23만878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전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 기아차의 올해 7월까지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은 161만811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 늘어났다.

국내 판매량은 카니발 페이스리프트와 신형 K9 등 신모델 판매 호조와 지난달 중순부터 진행된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

7월 한 달간 국내서 가장 많이 팔린 기아차는 카니발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니발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전년 대비 19.4% 증가한 7474대 판매됐다. 기아차의 대표 SUV인 쏘렌토가 6056대 판매를 기록하며 국내 판매 2위를 차지했다.

K9의 약진도 눈에 띄었다. K9은 지난달 1455대 판매돼 2012년 1세대 모델 출시 후 최초로 4개월 연속 월간 판매 1000대를 돌파했다. K9은 올해 누적 판매량 6256대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배가 넘는 수치다.

이 외에 중형 세단 K5는 4145대 판매됐다. K3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98.0% 증가해 3583대를 기록했다.

해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4.4% 늘었다. 신흥시장에서의 판매 증가와 스포티지, 모닝 등 해외 인기 모델의 판매 호조가 원인이다.

스포티지는 지난달 해외 시장에서 총 3만8704대 판매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한 수치다. 신형 프라이드는 2만6086대 판매돼 뒤를 이었다.

카니발은 전년 동기 대비 29.7% 증가한 4286대가 판매됐다. 모닝은 전년 대비 38.2% 증가한 1만4219대 판매됐다.

지역별로는 러시아와 중남미 등 대부분의 신흥 시장에서 고른 판매 성장을 기록했다.

기아차 관계자는 "국내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신형 K3(해외명 포르테)가 하반기부터 북미 등 세계 주요 시장에서의 본격 판매를 앞두고 있어 하반기 해외 판매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322,000
    • +1.28%
    • 이더리움
    • 5,263,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651,500
    • +1.56%
    • 리플
    • 722
    • +0.42%
    • 솔라나
    • 230,000
    • +0.61%
    • 에이다
    • 629
    • +0.96%
    • 이오스
    • 1,129
    • +0.27%
    • 트론
    • 157
    • -2.48%
    • 스텔라루멘
    • 148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700
    • +1.12%
    • 체인링크
    • 24,590
    • -3.98%
    • 샌드박스
    • 633
    • +1.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