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LG유플러스, 양자통신 기술 국제표준화 성공…"해킹ㆍ도청 불가능해"

입력 2018-07-29 15: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6일 스위스 제네바의 ITU 국제표준화 회의장에서 LG유플러스, KT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기술’ 표준화 승인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LG유플러스 진재환 팀장(5G전송팀), ITU-T 13연구위원회 의장 레오 레흐만, KT 김형수 박사, 카이스트 이규명 교수(사진제공= KT)
▲26일 스위스 제네바의 ITU 국제표준화 회의장에서 LG유플러스, KT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기술’ 표준화 승인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LG유플러스 진재환 팀장(5G전송팀), ITU-T 13연구위원회 의장 레오 레흐만, KT 김형수 박사, 카이스트 이규명 교수(사진제공= KT)
KT와 LG유플러스[032640]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표준화 회의에서 양사를 비롯한 국내 기업과 기관이 공동 제안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기술'이 국제표준 초안으로 승인됐다고 29일 밝혔다.

제안 기업과 기관은 LG유플러스, KT,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KAIST(한국과학기술원),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텔레필드, EYL 등 7개다.

표준화 회의는 지난 16∼2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표준 개발 총괄 에디터로 KT 김형수 박사가 임명됐다.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승인된 기술은 △양자암호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 및 기능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전송장비 간 인터페이스 △서비스 절차 기술이다. 또 지난 2월에 KT가 KIST와 함께 구축한 일대다(1:N) 양자암호통신 시험망 구조도 표준에 포함됐다.

전홍범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장은 "국내 연구기관과 대학, 우수 협력 기업들과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기술을 꾸준히 개발하고 관련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양자암호통신은 원자 이하 미립자 세계에서 나타나는 양자현상을 이용한 암호화 기술이다. 제3자가 중간에서 정보를 가로채려 시도할 경우 송·수신자가 이를 알 수 있어 해킹(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망사고까지…싱크홀, 도대체 왜 발생하는 걸까? [해시태그]
  • 퇴직자·임직원 짜고 882억 부당대출…은행 대형비리 또 터졌다
  • '위기 속 빛난 이순신 리더십' 韓 기업 최초 2기 백악관 뚫은 정의선
  • 성장이냐 상품화냐…'언더피프틴'이 던진 물음표 [이슈크래커]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영남권 중심으로 거세게 이어지는 산불…종합 피해 상황은? [이슈크래커]
  • 코인 묵히면서 벌자…파이 늘리고 싶은데 '파밍' 참여 망설였다면 [코인가이드]
  • "방송만 잘하는 게 아니네"…예능계 대표 MC 신동엽이 사는 '아크로리버파크'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804,000
    • -0.25%
    • 이더리움
    • 3,060,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490,300
    • +0.27%
    • 리플
    • 3,612
    • -1.18%
    • 솔라나
    • 216,600
    • +2.7%
    • 에이다
    • 1,121
    • +3.41%
    • 이오스
    • 846
    • +0%
    • 트론
    • 336
    • -0.88%
    • 스텔라루멘
    • 433
    • +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450
    • -0.39%
    • 체인링크
    • 22,850
    • +2.37%
    • 샌드박스
    • 449
    • +0.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