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혹은 2020년까지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5일(현지시간) 연준은 지난달 12~13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을 공개했다. 회의록에 따르면 연준은 “경제가 상당히 탄탄하고 물가도 2%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내년에서 2020년까지 성장을 급격히 촉진하지는 않는 정도의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꾸준히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연준이 펼쳤던 유례 없는 규모의 경기부양 정책이 끝났음을 의미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풀이했다.
회의록 내용은 최근 미국 경제의 강세와 관련해 연준이 경기 과열을 막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의미로 요약된다. 높은 소비자 지출과 기업 투자로 미국 경제는 2분기에 약 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연준은 지난달 회의에서 성장이 너무 가속해 견디기 힘든 물가 상승 압박이나 금융 버블이 오면 금리를 어떻게 관리할지를 논의했다. WSJ는 “일부 위원들이 경제가 잠재성장을 초월해 운용되는 기간이 길어질 경우 인플레이션 압박이나 금융 불균형이 발생해 결국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우려했다”고 전했다.
연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기존 1.50~1.75%에서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연준은 올 하반기 기준금리를 두 차례 추가 인상함으로써 올해 모두 네 차례 인상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WSJ는 이번 회의가 향후 몇 년 동안의 경제정책을 구체화했다고 봤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미국 경제가 견뎌낼 수 있는 수준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판단으로 경기를 급진 혹은 급락시키지 않을 정도의 수준으로 금리를 올려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연준 위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경제 성장을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6일 자정을 기해 발효되는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시장에 의존하는 미 기업에 불확실성이라는 공포를 안겨준다고 지적했다. 연준은 “(불확실성 때문에) 최근 신규 투자계획을 축소하거나 보류하는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이 이미 관세를 부과한 철강·알루미늄 분야 관계자들은 WSJ에 “국내 생산 능력을 높이기 위한 어떤 새로운 투자도 계획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연준은 또 신흥시장을 강타한 강달러의 영향력과 유럽의 투자심리를 억누르는 정치적 혼란 등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적 위험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이러한 우려들이 있지만, 경제를 지속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금리를 더 인상해야 한다는 연준의 견해는 변함없다. WSJ에 따르면 연준은 정부의 확장지출을 멈추고 통화정책을 성장 촉진에서 억제로 방향을 트는 내용으로 논의 중이다. 회의에서 위원들은 기준금리가 2020년에 2.75%에서 3.00% 사이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