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D램ㆍ낸드플래시 크게 성장할 것”

입력 2017-07-12 16: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이 12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나노코리아 2017’에서 ‘메모리의 미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있다. (박미선 기자 only@)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이 12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나노코리아 2017’에서 ‘메모리의 미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있다. (박미선 기자 only@)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이 12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나노코리아 2017’에서 ‘메모리의 미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며 "D램과 낸드플래시가 앞으로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반도체의 미래에 대해 “전자기기의 제품 숫자가 전세계 인구 숫자를 넘어섰다”며 “전자기기의 숫자만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기 안의 반도체 수와 메모리 용량도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2020년에는 서로 연결된 IT기기의 수가 전세계 인구수의 7배인 500억 대에 달하고, 반도체 시장 규모는 올해 3790억달러(약 434조 원)에서 2020년 4390억 달러(약 503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 부회장은 “전체 메모리 시장 규모로 보면 아직은 D램 시장이 크지만 향후 시장을 보면 낸드플래시 시장이 더 크게 발전될 것”이라며 “시장에서는 128단 이상의 3D 낸드플래시를 요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하이닉스는 4월 72단 256기가비트(Gb)의 낸드 플래시 개발에 성공했으며, 최근에는 낸드플래시 경쟁력 향상을 위해 도시바 메모리사업 지분 인수를 추진 중이다.

또한 박 부회장은 “메모리 반도체의 전력소비량을 낮추면서 성능을 높여야 하는 것이 미래의 과제”라며 “장비 1대 당 약 1800억 원이 들어가는데 인프라를 투자하면서 원가도 절감해야돼 점점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래의 메모리 기술의 핵심으로 ‘나노 소재’를 언급했다. 그는 “나노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메모리반도체를 개발해야한다”면서 “삼성이나 SK하이닉스나 차세대 메모리로는 PC램이 유력하고 STT-M램 개발도 열심히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3: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780,000
    • -0.86%
    • 이더리움
    • 4,997,000
    • -1.05%
    • 비트코인 캐시
    • 549,500
    • -2.14%
    • 리플
    • 695
    • -0.71%
    • 솔라나
    • 187,100
    • -5.93%
    • 에이다
    • 547
    • -1.62%
    • 이오스
    • 810
    • +0.5%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3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50
    • -1.27%
    • 체인링크
    • 20,220
    • +0.55%
    • 샌드박스
    • 458
    • +0.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