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현의 채권썰] 대기모드 속 과도한 우려 진정국면

입력 2017-04-07 08:08 수정 2017-04-07 08: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입찰 앞둔 5년물 상대적 약세나 스프레드 추가 확대는 글쎄

채권시장이 7일 미·중 정상회담과 미국 3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 발표를 앞두고 대기모드 양상을 보일 전망이다. 다만 전일 북한 선제공격 등 전쟁설에 따른 과도한 우려는 진정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지냈던 애슈턴 카터가 지난 2일(현지시간)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을 선제 타격할 경우 6·25 이후 가장 파괴적 전쟁”이 될 것으로 경고한 것에서 보듯 한반도 전쟁은 쉽지 않은 결정이기 때문이다.

전일 현선물 시장에서 매도로 돌아섰던 외국인 움직임도 관심사다. 국내 보도와 달리 해외 보도에서 한반도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는 점에 비춰 보면 추가 매도 가능성은 있다는 판단이다. 다만 역외 환율이 하락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외인이 매도세를 보인다 해도 대규모일 가능성은 낮다는 판단이다.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협회)
다음주 입찰을 앞둔 5년물 구간은 상대적 약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전일에도 관련구간이 가장 약했던 바 있다. 다만 5-3년 스프레드가 추가로 벌어질지는 지켜봐야겠다. 5-3년 스프레드는 전일기준 18.1bp로 2월22일 기록한 전고점 23.5bp와는 차이가 있다. 다만 올 평균 스프레드가 19bp라는 점을 감안하면 추가 확대 여력도 크지 않은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10일 1조9500억원 규모로 국고5년물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는 전달 경쟁입찰물량 1조7200억원 대비 2300억원 증가한 규모다.

다음주 13일엔 한국은행이 4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다만 동결 가능성이 높은데다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전망을 변경할 가능성도 낮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도는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물가전망치에 대한 상향조정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한은 “귤·도시가스 요금여파에 물가상승”..상반기 전망치 상향조정할 듯, 4월4일자 기사 참조).

오후 4시 한은이 3월23일 개최 금통위 의사록 공개한다. 이 회의가 금융안정을 주제로 열렸다는 점에서 역시 시장은 관심 밖이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12:1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446,000
    • +0.73%
    • 이더리움
    • 5,302,000
    • -0.43%
    • 비트코인 캐시
    • 645,500
    • -0.31%
    • 리플
    • 722
    • -0.55%
    • 솔라나
    • 228,400
    • -1.68%
    • 에이다
    • 630
    • -0.16%
    • 이오스
    • 1,133
    • -0.09%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50
    • -0.23%
    • 체인링크
    • 25,260
    • -2.47%
    • 샌드박스
    • 629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