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투르크메니스탄 화공플랜트 현장서 무재해 4000만인ㆍ시 달성

입력 2017-02-17 09: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엔지니어링 투르크메니스탄 에탄크래커 및 PE/PP 생산설비 프로젝트 현장 전경(사진=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 투르크메니스탄 에탄크래커 및 PE/PP 생산설비 프로젝트 현장 전경(사진=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이 ‘투르크메니스탄 에탄크래커, PE/PP 생산설비’ 현장에서 무재해 4천만 인시(人時)를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무재해 4천만 인시는 1천명의 직원이 매일 10시간씩 일한다고 가정할 때 4천일(약 11년) 동안 무재해를 이뤄내야 달성할 수 있는 기록이다.

‘투르크메니스탄 에탄크래커, PE/PP 생산설비’ 현장은 지난해 10월 무재해 3천만 인시를 달성한 이후 3개월만에 4천만 인시를 달성하게 됐다.

이 현장은 전체면적이 80만9720㎡(약 24만5천평)에 이르고 하루 투입 인력만 총 1만3천여명이 동원되는 대규모 현장일 뿐만 아니라 수시로 모래바람이 불어 닥치는 혹독한 기후조건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무재해를 유지하며 우수한 안전 관리 능력을 입증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현장 관계자는 “본사와 현장, 협력사 임직원들의 긴밀한 협력과 철저한 안전의식으로 무재해 4천만 인시를 달성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무재해 달성과 성공적인 준공을 위해 안전관리 수준을 꾸준히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투르크메니스탄 에탄크래커, PE/PP 생산설비’ 프로젝트는 투르크메니스탄 서부 연안 키얀리(Kiyanly) 지역에 가스분리설비 및 에탄크래커 설비 등을 포함한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를 건설하는 것으로 총 수주액은 29.9억불이며 지난 2013년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수주했다.

완공 후 이 지역에서 추출한 천연가스로부터 에탄(Ethane) 및 LPG 등을 분리한 후, 에탄크래커(Ethane Cracker)를 통해 열분해해 최종적으로 연간 40만 톤의 폴리에틸렌과 8만 톤의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게 된다.

프로젝트의 현재 공정률은 87.2%(2017년 2월 기준)이며 2018년 9월 말 준공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벤츠가 특별 제작한 자동차 받은 페이커, 반응은?
  • 1년 새 3배 넘게 폭증한 10대 사범…고민 깊던 정부, 정책방향 전환키로
  • 한국, 싱가포르에 7-0 대승…손흥민ㆍ이강인 멀티골 "오늘 뿌듯하다"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 퇴역…55년 우리 영공 지키고 역사 속으로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1: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250,000
    • -0.07%
    • 이더리움
    • 5,273,000
    • -1.44%
    • 비트코인 캐시
    • 684,500
    • -1.01%
    • 리플
    • 724
    • -0.55%
    • 솔라나
    • 235,100
    • -2.29%
    • 에이다
    • 634
    • -0.63%
    • 이오스
    • 1,082
    • -2.7%
    • 트론
    • 160
    • +1.27%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50
    • -1.53%
    • 체인링크
    • 24,020
    • -2.04%
    • 샌드박스
    • 648
    • -0.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