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대 개막 D-4] 올해 다보스포럼서 ‘공공의 적’ 된 트럼프…첫 참석 中시진핑 반사익 보나

입력 2017-01-16 08:28 수정 2017-01-16 15: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다보스포럼, 트럼프 취임식 등 정치적 대격변 속에서 흔들…시진핑의 독무대될 듯

▲스위스 다보스에서 15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 연차 총회, 일명 다보스포럼 개막을 이틀 앞두고 준비가 한창이다. 다보스/AP연합뉴스
▲스위스 다보스에서 15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 연차 총회, 일명 다보스포럼 개막을 이틀 앞두고 준비가 한창이다. 다보스/AP연합뉴스

스위스 다보스에서 17일(현지시간) 개막하는 세계경제포럼(WEF) 연차 총회, 일명 ‘다보스포럼’에서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전망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다보스포럼이 지난해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인 브렉시트(Brexit)와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선거 승리 등 정치적 대격변 속에 흔들리고 있다고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올해 다보스포럼의 주제는 ‘소통과 책임의 리더십’이다. 그러나 논의의 초점은 사실상 미국 트럼프 대통령 탄생에 따른 보호무역주의와 포퓰리즘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가 다보스에 모인 글로벌 대표들이 생각하는 ‘책임 있는 지도자’와는 거리가 먼 만큼 이는 다보스포럼의 근본적 취지도 흔들 수 있는 문제라는 지적이다.

트럼프와 그의 측근들은 자신들이 타파하려는 ‘세계화’를 다보스 포럼이 상징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스티브 배넌 백악관 수석전략가 내정자는 “‘다보스당’은 보통 사람과 민족국가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는 근본 없는 글로벌 엘리트 집단”이라고 격하했다.

FT는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와 포퓰리즘은 국제무역과 투자를 선한 것으로 간주하는 다보스의 핵심 전제에 대한 공격과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트럼프는 모든 이슬람 교도의 미국 입국을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는 다보스포럼이 올해 ‘다문화에 대한 열렬한 대화’를 핵심과제로 꼽는 것과 대조적이다. 또 트럼프는 기후변화 개념이 미국 산업을 무너뜨리려는 음모의 일부로 중국인에 의해 고안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다보스포럼은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로 가득차 있다. 20일 거행되는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취임식 선서는 트럼프와 다보스포럼의 대조적인 모습을 극명하게 비추는 상징이라고 FT는 전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현지시간) 스위스를 공식 방문해 베른에 있는 의회의사당에서 연설하고 있다. 시진핑은 이번 방문길에 중국 국가주석으로는 처음으로 다보스포럼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베른/AP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현지시간) 스위스를 공식 방문해 베른에 있는 의회의사당에서 연설하고 있다. 시진핑은 이번 방문길에 중국 국가주석으로는 처음으로 다보스포럼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베른/AP연합뉴스

한편 올해 다보스포럼에는 트럼프는 물론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등 주요국 정상이 대부분 불참한다. 이런 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으로는 처음으로 참석하는 시진핑의 독무대가 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FT는 신임 미국 대통령의 부재 속에 시진핑이 국제 경제 시스템의 ‘책임 있고 소통하는 지도자’로서 다보스포럼에서 자리매김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시 주석 측은 영국의 브렉시트 국민투표 전인 지난해 5월부터 다보스포럼 참석을 준비했다. 당시 시 주석은 힐러리 클린턴의 미국 대선 승리를 예상하고 그에 앞서 국제 무대에서 존재감을 부각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브렉시트와 트럼프의 예상치 못한 승리로 시 주석에 새로운 기회가 생겼다고 FT는 전했다. 시 주석은 17일 개막식 연설을 활용해 자유무역에서 기후변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슈에서 최근 수년간 이뤄진 진전의 보호자 역할을 자처하면서 ‘책임 있는 지도자’로서 자신의 지위를 격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상하이 푸단대학의 선딩리 미국학 교수는 “미국은 쇠퇴하고 중국은 부상하고 있다”며 “중국은 국제 체제를 방어할 것이다. 그러나 트럼프 체제 하에서 미국은 반대 방향으로 걸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5: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23,000
    • +0.75%
    • 이더리움
    • 5,214,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646,000
    • -0.08%
    • 리플
    • 721
    • -0.69%
    • 솔라나
    • 231,400
    • -0.39%
    • 에이다
    • 622
    • -0.16%
    • 이오스
    • 1,125
    • +0.9%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700
    • +0.46%
    • 체인링크
    • 24,820
    • -3.27%
    • 샌드박스
    • 604
    • -1.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