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18조 글로벌 화장품 원료 사업 출사표

입력 2016-11-08 08: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CJ제일제당이 천연유래 소재와 발효·효소 기술을 바탕으로 18조 원 규모의 글로벌 화장품 원료 사업에 나선다.

CJ제일제당은 8일 화장품 원료 전문 브랜드 ‘엔’그리디언트(N’gredient)’를 선보이고 국내 및 글로벌 화장품 원료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엔’그리디언트는 천연, 자연 유래를 뜻하는 내추럴의 ‘N’과 원료를 뜻하는 인그리디언트를 합친 것으로, 자연친화적 원료를 의미한다. CJ제일제당은 엔’그리디언트의 모든 제품을 천연 유래 원료로 만들고 친환경 발효·효소 기술을 적용해 기존 화장품원료와 차별화했다.

화장품원료는 미백이나 자외선 차단 같은 특정한 기능을 보유한 유효원료(Active)와 화장품의 흡수도나 발림성을 개선해 좀 더 쉽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해주는 기초원료(Base) 두 가지로 분류된다. CJ제일제당은 밀의 배아를 발효시켜 추출한 물질로는 미백과 항노화 기능을 가진 유효원료를 만들고, 해바라기유 등 식물성 유지를 활용해 화장품의 사용감이나 안정도 등을 높이는 기초원료도 개발했다. 특히 이들 원료는 발효 과정을 통해 원료 안의 유용한 성분이 잘게 분해되면서 피부에 더 잘 흡수되는 장점을 보유했다.

회사에 따르면 기능성 화장품에 들어가는 유효원료와 기초원료의 비율은 1대 6 정도로 기초원료가 더 많이 사용된다. 지난해 기준으로 약 18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 글로벌 화장품 원료 시장에서도 약 80% 이상인 15조 원가량이 기초원료 시장일 정도로 비중이 더 크다. 대부분의 국내 기업들은 기술적 한계와 투자비 부담 등으로 제조 방식이 상대적으로 쉬운 유효원료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국내외 화장품 기업들이 요구하는 기초원료 분야에서는 두각을 나타내는 한국 기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CJ제일제당은 독보적인 발효·효소 기술뿐 아니라 친환경 방식의 정제 기술과 소재결합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기초원료 분야를 적극적으로 개척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은 본격적인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8일부터 태국 방콕에서 진행된 아시아 최대 규모 화장품 원료 박람회인 ‘인-코스메틱스 아시아’에 참가해 해외 화장품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이 외에도 해외 화장품 관련 전문 매체나 학술지 등을 통해 엔’그리디언트의 인지도를 높일 예정이다.

한편 18조 원 규모의 글로벌 화장품 원료 시장에서 중국 시장은 약 2조2000억 원, 국내 시장은 약 6000억 원 규모로 알려져 있다. 특히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은 최근 연간 성장률이 두 자리 수에 육박할 정도로 빠르게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SK가 국내 1위 화장품 원료 기업인 바이오랜드를 인수했고, 코오롱과 KCC 등의 대기업이 이 시장에 진출하며 주목받고 있기도 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140,000
    • -2.29%
    • 이더리움
    • 4,937,000
    • -2.81%
    • 비트코인 캐시
    • 586,000
    • -4.01%
    • 리플
    • 726
    • +4.61%
    • 솔라나
    • 200,400
    • -4.21%
    • 에이다
    • 568
    • -3.57%
    • 이오스
    • 877
    • -5.6%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500
    • -3.85%
    • 체인링크
    • 20,260
    • -5.42%
    • 샌드박스
    • 490
    • -10.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