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딜라이브 인수로 몸집 키우나

입력 2016-10-13 09: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부서 인수 검토, 딜라이브 연내 매각주관사 선정

통신사업자인 LG유플러스가 케이블방송사업자(MSO) 딜라이브 인수를 추진할 유력 후보로 꼽히고 있다. 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올해 초 LG전자에서 경갑수 상무를 영입해 인수합병(M&A)팀을 신설했다. LG디스플레이, LG전자에서 영업ㆍ마케팅 등을 담당한 경 자문은 지난해 일본법인장을 역임했다. 경 자문이 이끄는 M&A팀은 딜라이브 등 MSO 인수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LG유플러스가 MSO 인수를 추진하는 것은 순위가 고착화된 통신 시장보다 지각 변동 가능성이 있는 유료 방송 시장에서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이 지난달 기자 간담회에서 MSO 인수 검토 의사를 밝힌 것은 해당 사업자들과의 가격 협상 의중을 우회적으로 전달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MBK파트너스 등으로 이뤄진 딜라이브 매각협의회도 이 회사의 재매각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이들은 매각주관사를 뽑기 위해 복수의 IB에게 프레젠테이션을 받고 있다. 이번 매각주관사 선정 작업에서 2014년 매각을 주관했다 실패한 골드만삭스는 제외될 것으로 전해졌다. 협의회 관계자는 “연내에 매각주관사를 최종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딜라이브 매각협의회가 이 회사의 매각에 속도를 내는 것은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은 올해 7월 2조2000억 원 규모의 딜라이브 인수금융 만기를 3년 연장했다. IB업계 관계자는 “수조 원 규모의 회사를 매각하는 데 있어 3년은 매우 짧은 시간”이라고 평가했다.

대주단은 3년 안에 딜라이브를 매각하지 못하면 2019년 대규모 인수금융의 차환을 다시 고민해야 한다. 딜라이브 인수금융 만기가 연장된 것은 2007년 이후 이번이 세 번째다.

한편 딜라이브 매각 성공 관건으로는 통합방송법 개정이 꼽힌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통합방송법 개정안은 기존 방송법에 규정된 지상파, 케이블, IPTV 관련 규제를 하나의 법으로 통합하는 게 골자다. 현재 방송법에 따르면 지상파, 종합유선방송사업자(S0), 위성방송사업자는 서로 지분을 33% 초과해 소유할 수 없다. 지분율 33% 규제 폐지는 유료 방송 간 M&A를 허용하겠다는 의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14:5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78,000
    • -2.7%
    • 이더리움
    • 4,978,000
    • -3.62%
    • 비트코인 캐시
    • 635,000
    • -3.2%
    • 리플
    • 681
    • -2.3%
    • 솔라나
    • 215,600
    • -3.88%
    • 에이다
    • 606
    • -1.94%
    • 이오스
    • 965
    • -2.43%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000
    • -6.27%
    • 체인링크
    • 21,940
    • -2.49%
    • 샌드박스
    • 568
    • -2.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