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GS 회장, "계열사별 적합한 성장모델 발굴이 성공 열쇠" 강조

입력 2007-09-02 10:38 수정 2007-09-02 10: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S그룹, "해외 진출 지역별로 M&Aㆍ공동기업 등 별도 전략 추구"

허창수 GS 회장은 2일 "각 계열사들이 특성에 맞는 적합한 성장모델을 찾아내는 것이 성공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GS그룹 각 계열사들은 해외에 진출하는 경우 진출한 지역의 특성에 맞게 기업 인수ㆍ합병(M&A)나 공동기업(Joint Venture) 등의 방식을 택할 예정이다.

허창수 GS 회장은 지난 달 31일부터 9월 1일까지 강원도 춘천에 있는 강촌리조트에서 열린 'GS 최고경영자전략회의'에서 이같이 말하고, "수준 높은 창의력을 발휘해서 변화하는 시장속에서 수많은 도전을 이겨내고, 반드시 비전을 성취해 줄 것"을 당부했다.

허 회장은 특히 세계 3위의 가전업체인 '보쉬 앤 지멘스(Bosche and Simens)'社의 사례를 들면서 "보쉬 앤 지멘스社는 우리와 산업분야는 다르지만 다양한 유형의 성장전략을 성공적으로 전개했던 기업으로 치열한 경쟁 속에서 브랜드 파워를 기르면서 새로운 시장으로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높은 수익성을 확보했다"며 "또한 자신이 합작회사일 뿐 아니라 합작회사인 자회사도 운영하면서 상호 협력관계를 잘 살려 좋은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활성화 되어가고 있는 해외사업이 치밀한 준비와 현지화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한다"며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성과 및 비전을 달성할 수 있는 강한 조직을 만들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따라 GS계열사 CEO 및 사업본부장들은 이번 전략회의에서 ▲중국의 개방과 성장 ▲남북 경제협력의 증대 ▲아세안 국가간 경쟁심화 등 최근 일어나고 있는 환경변화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GS그룹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서 각 계열사 CEO들은 단순한 수익성 유지만으로는 지속 생존이 어렵기 때문에 성공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핵심역량을 활용한 지역확장전략이 필요하고, 진출 지역별로 M&A와 Joint Venture 등의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특히 M&A를 통한 성공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진의 의지 및 강력한 리더십 ▲동일한 기업문화의 구현 ▲기업 및 브랜드의 정체성 정립 ▲현지 경영진과 직원의 역량 개발 등이 필요하며, 'Joint Venture'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상호 신뢰 구축 ▲상호 공동출자 ▲명확한 브랜드 컨셉트 등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환경 변화에 따른 성장기회 발굴 및 성장 모멘텀 창출'을 주제로 열린 이번 'GS 최고경영자 전략회의'에는 허창수 GS 회장과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을 비롯해, GS리테일, GS홈쇼핑, GS EPS, GS건설 등 주요 계열사 CEO 및 사업본부장 등 50여명이 참석해 최고경영자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실행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그 커피 어디 거예요?"…Z세대도 홀린 고현정·최화정의 라이프스타일 [솔드아웃]
  • “나는 행복합니다~” 외치지만…야구팬들이 항상 화나있는 이유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24,000
    • -0.23%
    • 이더리움
    • 5,206,000
    • -1.27%
    • 비트코인 캐시
    • 681,000
    • -1.02%
    • 리플
    • 706
    • -2.49%
    • 솔라나
    • 229,700
    • -2.46%
    • 에이다
    • 631
    • -0.63%
    • 이오스
    • 1,034
    • -4.61%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1
    • -4.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350
    • -5.29%
    • 체인링크
    • 22,950
    • -4.41%
    • 샌드박스
    • 616
    • -4.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