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워크래프트’ 와우저에 의한 … 와우저를 위한… 와우저의 영화

입력 2016-06-10 12: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캐릭터·그래픽·사운드 게임세계 완벽구현…일반 관객에겐 개연성 떨어져 몰입도 ‘뚝’

고백부터 하자면, 기자는 게임 ‘워크래프트’의 유저가 아니다. 다만 ‘워크래프트’에 중독된 애인 때문에 고생한 몇몇 친구들은 알고 있기에, 이 시리즈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는 충분히 꿰고 있다. ‘워크래프트’를 영화화 한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에 대해 말하기에 앞서 와우저(WoW 유저)가 아님을 밝히는 이유는, 게임의 세계관을 아느냐 모르느냐에 따라 영화에 대한 감상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은 아는 만큼 즐길 수 있는 세계다.

게임 ‘워크래프트’의 역사는 1994년도에 시작됐다. 20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게임은, 전 세계 1억 명 이상의 유저를 품에 안았다. 성공한 아이템은 타 미디어의 뿌리가 된다. ‘워크레프트’를 기반으로 한 소설이 나왔고, 만화가 나왔다. 할리우드가 이 성공한 ‘덕후’들의 세계를 그냥 둘리 만무하다. ‘워크래프트’의 영화화가 공식 발표된 건, 2006년. 그리고 게임은 10년을 돌고 돌아 드디어 스크린에 당도했다.

‘워크래프트’는 방대한 세계관을 지닌 게임이다. 여러 세계관 중, 영화가 선택한 곳은 1차 대전쟁이다. 워크래프트 세계의 서사를 이끌어가는 두 핵심 종족, 인간과 오크가 전투를 벌이는 게 1차 대전쟁의 주요 골자다. 자신들의 서식지가 황폐화 되자 굴단이 이끄는 오크족은 ‘어둠의 문’을 통해 인간 등이 사는 아제로스 행성을 침공한다. 오크족 중 한 종족의 우두머리인 듀로탄(토비 케벨)은 굴단의 힘이 세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판단, 동족을 지키기 위해 인간족과 접선한다.

3부작 중 첫 번째인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은 와우저(WoW 유저)와 비(非) 와우저의 관전 포인트가 완전히 다를 수밖에 없는 영화다. 와우저라면 게임 속 캐릭터들이 거대 스크린 위를 미끄러지듯 유영하는 모습에 가슴이 벅차오를 가능성이 농후하다. 털 한 올 한 올 섬세하게 구현된 오크, 위협적인 지옥 마법, 디테일하게 옮겨진 드레노어(오코족 고향)/아제로스(인간 세계) 등의 시각효과가 박력 넘치는 사운드를 만나 시너지를 낸다. 게임의 세계를 실감나게 표현하는데 성공했다는 의미다. 아쉬움이라면 구명 뚫린 몇몇 내러티브인데, 인물들의 사연을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느끼고 있을 와우저들에겐 그러한 허점이 크게 문제 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되지 않거나.

하지만 非와우저에게 이 영화는 다소 어지러운 미로의 세계다. 영화는 시작과 동시에 중요 등장인물과 게임 속 단어들을 휘몰아치듯 쏟아낸다. 이 세계를 처음 접한 관객 입장에서는 그것들을 일일이 씹어서 뇌에 전달하고, 기억하는데 공력이 꽤 든다. 이 영화의 가장 큰 매력으로 기능하는 캐릭터들 또한, 게임을 모르는 관객들에겐 낯선 이방인일 뿐이다. 무엇보다 당위성을 잃은 스토리가 발목을 잡아챈다. 영화는 배신과 의리와 우정이 난무하는 세계를 그리고 있지만, 정작 캐릭터들을 움직이게 하는 동기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뜬금없이 등장하는 러브라인은 와우저들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나뉠 것으로 보인다.

사진=UPI코리아 제공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 비밀번호가 털린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인질 4명 구출”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85,000
    • +0.41%
    • 이더리움
    • 5,205,000
    • +0.44%
    • 비트코인 캐시
    • 664,500
    • -1.85%
    • 리플
    • 698
    • +1.9%
    • 솔라나
    • 226,500
    • -0.18%
    • 에이다
    • 613
    • -2.7%
    • 이오스
    • 991
    • -1.69%
    • 트론
    • 162
    • +1.89%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850
    • -1.66%
    • 체인링크
    • 22,400
    • -2.1%
    • 샌드박스
    • 581
    • -3.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