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이스탄불, 폭탄 테러 사망자 5명으로 늘어ㆍ부상자 36명

입력 2016-03-20 11: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망자 중 2명은 이스라엘ㆍ미국 이중 국적자

▲터키 이스탄불에서 19일(현지시간) 폭탄 테러가 발생한 가운데 구급차들이 사고 현장에 도착해 구조 작업이 한창이다. 이스탄불/AP뉴시스
▲터키 이스탄불에서 19일(현지시간) 폭탄 테러가 발생한 가운데 구급차들이 사고 현장에 도착해 구조 작업이 한창이다. 이스탄불/AP뉴시스

터키 이스탄불 시내 주요 쇼핑ㆍ관광지구인 이스티크랄 거리에서 19일(현지시간)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한 가운데 사망자가 5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백악관은 사망자 가운데 2명은 미국인임을 확인했다고 이날 미국 폭스뉴스가 보도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은 “터키 이스탄불에서 테러리스트들이 자행한 공격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두 명의 미국 시민이 이번 자살폭탄 테러로 희생됐다. 가족들과 사랑하는 이를 잃은 사람들에게 심심한 애도를 표시한다”고 밝혔다.

벤야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번 테러 희생자 중 최소 2명이 이스라엘 국적”이라고 말했다. 한 이스라엘 외교관은 “이들 두 명은 미국 시민권도 보유했으며 사망자 이외 다른 한 명도 생명이 경각에 달렸다”고 전했다. 이스라엘은 이번 테러가 자국민을 겨냥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한편 터키 보건부는 “이날 테러로 인한 부상자 36명 가운데 이스라엘인 6명과 아일랜드인 2명, 아이슬란드와 독일 두바이 이란 등에서 각각 1명 등 외국인이 다수 포함됐다”고 밝혔다.

AP통신은 이번 테러는 최근 1년간 터키에서 일어난 6번째 자살폭탄 공격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터키 수도 앙카라에서 지난 13일 차량 자폭 테러가 발생해 37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쳤다.

21일은 쿠르드족의 전통적인 새해이기 때문에 터키 당국은 쿠르드족 반군이 테러를 자행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었다. 당국은 수니파 무장조직인 이슬람국가(IS)가 이번 테러를 주도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터키 도안통신은 당국이 용의자로 추정되는 30대 IS 조직원의 아버지로부터 DNA 샘플을 채취해 현장에서 수집한 샘플들과 대조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495,000
    • +1.23%
    • 이더리움
    • 5,259,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56,500
    • +0.77%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3,400
    • +0.82%
    • 에이다
    • 639
    • +0.63%
    • 이오스
    • 1,114
    • -1.24%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00
    • +0.64%
    • 체인링크
    • 24,450
    • -0.69%
    • 샌드박스
    • 637
    • +0.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