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디안테크놀로지, 사용자 편의성 극대화한 HMI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

입력 2016-02-18 10: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네오디안테크놀로지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HIM(Human Machine Interface)인 ‘weMX 2016 for Android’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로 앱을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이번에 출시된 ‘weMX 2016 for Android’를 이용하면 일반인들도 가정에서 손쉽게 홈 사물인터넷(IoT) 장비들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이 앱을 다운로드해 설치하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홈 IoT 제품과 연동하면, 조명, 전원, 냉난방기, 전자기기 등 집안에서 사용하는 각종 장비 및 설비 등을 안드로이드 기기를 통해 제어 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앱에서 보여지는 제어 화면까지 사용자가 직접 구성하고 디자인(DIY) 할 수 있다”며 “단순 제어뿐 만 아니라 제어 방식과 기능, 화면의 색상과 그래픽 효과까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weMX 2016 for Android’는 기존 단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안드로이드 기기를 활용해 3D,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 기능 반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손쉬운 통신 드라이버(User Driver) 구축도 이 제품의 특징이다. 회사 관계자는 “안드로이드 기기만 있으면 앱 설치만으로 추가 비용 없이 PLC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며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여러 인터페이스로 홈 오토메이션(HA, Home Automation), 빌딩 오토메이션(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 에서 IoT 방식으로 여러 장비의 제어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풍부한 개발 환경도 ‘weMX 2016 for Android’의 장점이다. 안정적이고 검증된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으로 사용자 드라이버, 사용자 컴포넌트, 사용자 서비스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현진 네오디안테크놀로지 대표는 “안드로이드 버전 HMI는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제품이라 수요가 많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꾸준한 업데이트도 제공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629,000
    • -1.77%
    • 이더리움
    • 4,959,000
    • -2.55%
    • 비트코인 캐시
    • 589,500
    • -3.44%
    • 리플
    • 715
    • +3.17%
    • 솔라나
    • 201,500
    • -4.05%
    • 에이다
    • 570
    • -3.06%
    • 이오스
    • 879
    • -5.18%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7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300
    • -3.86%
    • 체인링크
    • 20,440
    • -4.22%
    • 샌드박스
    • 489
    • -10.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