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16] 전기차 향연…글로벌 자동차 업계 ‘친환경·스마트카’ 한목소리

입력 2016-01-08 09:15 수정 2016-01-08 09: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인 ‘CES 2016’에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전기차,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차 등 미래 자동차 주요 기술을 앞다퉈 선보이며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6일(이하 현지시간)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CES에는 기아자동차를 비롯해 BMW, 벤츠, 폭스바겐, GM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 9곳과 115개의 자동차 전장 부품 및 기술업체가 참여했다.

▲기아차는 CES 2016 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집약시킨 전기차 기반의 ‘쏘울 EV 자율주행차’를 선보였다.(사진제공 기아차)
▲기아차는 CES 2016 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집약시킨 전기차 기반의 ‘쏘울 EV 자율주행차’를 선보였다.(사진제공 기아차)

먼저 국내 기업 중에는 기아차가 현대차그룹을 대표해 참가했다. 기아차는 이번 CES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집약시킨 전기차 기반의 ‘쏘울 EV 자율주행차’를 선보였다. 또 첨단 자율주행 기술을 아우르는 신규 브랜드 ‘드라이브 와이즈(DRIVE WISE)’를 새롭게 론칭하면서 자율주행차 로드맵을 발표하기도 했다.

▲폭스바겐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6에서 MEB 기반의 콘셉트카 ‘버디 (BUDD-e)' 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폭스바겐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6에서 MEB 기반의 콘셉트카 ‘버디 (BUDD-e)' 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디젤 차량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이슈가 있는 폭스바겐도 참여해 전기차 플랫폼(MEB) 기반의 콘셉트카 ‘버디 (BUDD-e)’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버디는 주행 가능 거리를 최대 533km(NEDC 기준)로 늘렸으며, 사륜구동 시스템 및 317마력의 종합 출력을 갖췄다. 배터리가 차량 바닥에 위치하도록 설계해 완전히 새로운, 그리고 배터리에 구애받지 않는 인테리어 설계가 가능해졌다. 폭스바겐 승용차 부문 회장인 헤르베르트 디스 박사는 기조 연설을 통해 “버디는 30분 만에 80%를 충전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장점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쉐보레는 전기차 시장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장거리 주행 순수 전기차 쉐보레 볼트(Bolt) EV의 양산형 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쉐보레는 전기차 시장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장거리 주행 순수 전기차 쉐보레 볼트(Bolt) EV의 양산형 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장거리 주행 순수 전기차 쉐보레 볼트(Bolt) EV의 양산형 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2016년 말 본격 양산에 돌입하는 볼트 EV는 한 번 충전으로 200마일(약 321km) 이상을 주행하며 미 연방 보조금 포함 3만 달러 미만에 시판 가격이 정해져 합리적인 가격까지 겸비했다는 평가다.

▲BMW그룹은 세계 최초로 네트워크 콘트롤과 운전자 인터페이스의 미래를 보여주는 'BMW i 비전 퓨처 인터랙션' 콘셉트카와 새로운 '에어 터치'기술을 선보였다.
▲BMW그룹은 세계 최초로 네트워크 콘트롤과 운전자 인터페이스의 미래를 보여주는 'BMW i 비전 퓨처 인터랙션' 콘셉트카와 새로운 '에어 터치'기술을 선보였다.

BMW는 이번 CES 2016에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부문의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네트워크 콘트롤과 운전자 인터페이스의 미래를 보여주는 콘셉트 차량인 ‘BMW i 비전 퓨처 인터랙션’을 공개하고 손의 움직임과 깊이를 함께 탐지해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작동시키는 기술인 ‘에어 터치’를 선보였다.

국내자동차 부품업체로는 처음으로 CES에 참가한 현대모비스는 첨단 기술을 위한 부품인 센서와 레이더 기술을 보여주는 운전지원시스템(DAS) 존에서 자율주행의 수준을 결정하는 정교한 센서와 레이더가 실제 자동차의 어느 부분에서 구현되는지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또 200만화소 카메라, AVM 등 바디/DAS 제품, ICS, D-Audio 등 멀티제품 4종, LED 매트릭스 빔 등 램프 제품 2종과 관련된 기술과 제품을 소개했다.

현대모비스 정승균 연구개발본부장(부사장)은 “자동차와 IT 기술이 융합된 전장부품은 회사의 미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핵심적인 기술”이라면서 “이번 CES에서 모비스의 첨단 기술력 및 미래차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해 혁신 기술을 선도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한화-KT전 '끝내기 벤치클리어링', 도대체 무슨 일?…4년 전 악연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291,000
    • +0%
    • 이더리움
    • 5,333,000
    • +1.37%
    • 비트코인 캐시
    • 682,500
    • +2.02%
    • 리플
    • 727
    • -0.27%
    • 솔라나
    • 239,000
    • -0.13%
    • 에이다
    • 635
    • -0.47%
    • 이오스
    • 1,097
    • -2.05%
    • 트론
    • 159
    • +1.27%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750
    • +0.11%
    • 체인링크
    • 24,130
    • -2.43%
    • 샌드박스
    • 645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