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뇌관] 신흥국發 제2 글로벌 금융위기 오나

입력 2015-12-23 11: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금리인상 영향 신흥국 자본이탈 심화… 국내경제에도 큰 타격

리먼브러더스 파산 사태로 촉발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경기 둔화에 재현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세계경기 침체는 미국 대공황 이후 선진 금융시장에 불어닥친 가장 큰 경제위기라고 평가되고 있다.

원인은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꼽힌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비우량 주택담보대출을 의미하며 미국 주택시장 붕괴시킨 주범이었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 금융당국은 대출기준 강화와 채무상환 지연 위험이 있는 이들에 대한 대출 연장을 막기 위해 ‘상환능력’ 기준을 도입했다.

당시 은행들은 유동성 확보를 위해 은행간 시장에서 앞다퉈 대출 회수에 나서면서 은행들의 보유 자산 매각이 급증함에 따라 자산가격이 급락하고 이는 결국 은행파산을 가져왔다.

이후 전세계 은행으로 위기가 전가되는 상황이 오게된다.

일각에선 중국 경제 발전 속도가 늦춰짐에 따라 비슷한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22일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최근 중국 경제 성장둔화의 장기화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신흥시장국을 중심으로 통화 가치가 하락하고, 자본이 유출되는 등 금융불안이 지속됨에 따라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적시했다.

이는 과거 국제금융시장 불안시기마다 안전자산 선호로 신흥시장국으로부터 글로벌 투자자금이 회수되는 패턴이 반복되면서 우리나라의 양호한 경제기초체력(펀더멘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시장국 간에 실물 및 금융 연계성이 심화됨에 따라 신흥시장국의 금융불안이 우리나라로 전염될 가능성이 더욱 증대 됐다.

미국 금리인상 또한 위험 상황을 초례할 수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시장국은 미 연준의 대폭적인 양적완화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을 배경으로 달러화 차입을 크게 확대해 왔다.

이는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와 더불어 향후 미 연준의 금리인상 시 신흥시장국의 외채상환 부담이 크게 가중될 수 있다는 의미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글로벌 달러화 유동성의 축소로 이어져 중국, 브라질을 비롯한 신흥시장국 기업 등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데 적지 않은 애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달러화 강세로 인해 자국통화표시 부채가 증가함에 따라 외채상환 부담이 가중되면서 실적부진 기업 등을 중심으로 유동성 사정이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향후 시장 변화에 준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인 가구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소통 프로그램 '건강한 밥상' [십분청년백서]
  • 서울에는 김밥·구미에는 라면…주말 분식 축제 [그래픽 스토리]
  • 삼성전자 반도체 이익 40% 줄었지만… 메모리 선방ㆍHBM 희망 봤다
  • “금투세, 폐지 대신 공제 늘리자”…野 ‘절충 법안’ 속속 발의 [관심法]
  • 尹, 北ICBM 발사에 "강력 대응"…고체연료 주요 부품 北 수출 금지[종합2보]
  • '나는 솔로' 제작진, 23기 출연자 논란에 "시청자 불편함 없도록 조치할 것"
  • 9월 전국 주택 인허가·착공 하락세… ‘악성 미분양’은 증가
  • LA 다저스, 뉴욕 양키스 꺾고 역대 8번째 월드시리즈 우승
  • 오늘의 상승종목

  • 10.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65,000
    • -2.43%
    • 이더리움
    • 3,516,000
    • -5.02%
    • 비트코인 캐시
    • 502,500
    • -2.8%
    • 리플
    • 713
    • -2.06%
    • 솔라나
    • 236,300
    • -3.12%
    • 에이다
    • 478
    • -3.63%
    • 이오스
    • 617
    • -4.19%
    • 트론
    • 235
    • -0.42%
    • 스텔라루멘
    • 129
    • -2.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100
    • +3.76%
    • 체인링크
    • 15,980
    • -7.2%
    • 샌드박스
    • 340
    • -5.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