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진 한국인 최초 쇼팽 콩쿠르 우승…어떤 대회길래?

입력 2015-10-21 12: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진 한국인 최초 쇼팽 콩쿠르 우승

▲피아니스트 조성진. (사진=연합뉴스)
▲피아니스트 조성진. (사진=연합뉴스)

피아니스트 조성진(21)이 우승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 관심이 모아진다. 쇼팽 콩쿠르는 클래식 분야에서는 올림픽에 견줄만큼 권위가 큰 콩쿠르다.

프레데릭 쇼팽 협회는 18∼20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제17회 국제 쇼팽 피아노 콩쿠르 결선의 최종 심사 결과 조성진이 1위를 차지했다고 21일 오전 1시 발표했다.

퀸 엘리자베스·차이콥스키 콩쿠르와 더불어 세계 3대 콩쿠르로 꼽히는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는 쇼팽의 출생지 바르샤바에서 1927년에 시작했다. 쇼팽이 음악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이 콩쿠르 역시 피아노 연주자들에게는 꿈의 무대다.

쇼팽 콩쿠르는 5주년 주기로 열린다. 한번 실패하면 다시 5년을 기다려야하는 대회다. 때문에 클래식 꿈나무들에게는 흡사 올림픽에 견줘지기도 한다. 때문에 한국에서도 관심이 높다.

쇼팽 콩루르에는 16세부터 30세까지의 젊은 연주자들만 참여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독주곡, 협주곡 등 쇼팽의 곡 만으로 실력을 겨룬다. 본선에서 결선까지 약 3주 가량 쇼팽의 음악에 집중해야 해서 참가자들에게는 상당한 집중력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거장의 등용문으로 통한다. 안정적이고 모범적인 연주를 하는 쇼팽 출신 연주자들이 많다. 블라디미르 아시케나지(1955·2위), 마르타 아르헤리치(1965·우승), 크리스티안 짐머만(1975·우승), 스타니슬라프 부닌(1985·우승)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 대회인 2005년 제15회에서 우승한 라파우 블레하치, 2010년 제16회 대회에서 우승한 율리아나 아브제예바도 점차 입지를 다지고 있다.

아시아인 중에서는 1980년 베트남 출신 당타이손이 최초로 우승했다. 2000년 중국의 윤디 리는 당시 조성진보다 어린 나이의 18세로 최연소 우승하며 스타덤에 올랐다.

역대 입상자 가운데 동양인은 이렇듯 베트남, 일본, 중국 출신이 대부분이다. 1980년 우승자인 베트남의 당타이손은 동양인 최초 우승자로 화제를 모았다.

2005년에는 한국인 연주자로는 처음으로 임동민, 임동혁 형제가 공동 3위로 입상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년 새 3배 넘게 폭증한 10대 사범…고민 깊던 정부, 정책방향 전환키로
  • 한국, 싱가포르에 7-0 대승…손흥민ㆍ이강인 멀티골 "오늘 뿌듯하다"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율희, 이혼 6개월 만에 새 남자친구?…"오해 소지 다분" 직접 해명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440,000
    • -0.05%
    • 이더리움
    • 5,295,000
    • -0.75%
    • 비트코인 캐시
    • 688,000
    • +1.18%
    • 리플
    • 725
    • -0.41%
    • 솔라나
    • 237,000
    • -1.17%
    • 에이다
    • 638
    • +0%
    • 이오스
    • 1,095
    • -1.79%
    • 트론
    • 160
    • +1.27%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350
    • -1.08%
    • 체인링크
    • 24,050
    • -1.92%
    • 샌드박스
    • 657
    • +1.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