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조조할인 시행 100일…‘분산’은 없고 ‘할인’만

입력 2015-10-19 09:11 수정 2015-10-19 09: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공요금 인상 당근책에 시민 호응 적어

서울시가 대중교통 혼잡 분산을 위해 지난 6월 말 도입한 ‘조조할인’ 제도가 사실상 효과가 미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조할인은 서울시가 교통 복지를 확대하고 대중교통 혼잡 분산을 위해 새벽 시간대(첫차~06:30) 버스와 지하철 요금을 20% 할인해 주는 제도로 지난 6월 27일부터 시행했다. 당시엔 서울시가 지하철 요금 등 서민생활에 직결되는 공공요금을 큰 폭으로 올리면서 악화된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당근책’이라는 말도 나온 제도다.

하지만 제도 시행 100일이 넘었지만 이용자 수가 소폭 늘어나는데 그치는 등 ‘대중교통 혼잡 분산’과 ‘교통 복지(할인)’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데는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조조할인 수혜 일평균 이용객 현황(서울시)
▲조조할인 수혜 일평균 이용객 현황(서울시)
19일 서울시가 집계한 ‘조조할인 수혜 일평균 이용객 현황’을 살펴보면 제도 시행 초기인 7월 첫 주에는 22만742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3만956명) 보다 감소했다. 20% 할인에도 이용객이 줄어든 이유에 대해 서울시는 도심 통행속도 향상과 메르스 영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8월 들어 서울시의 해명은 맞아떨어지는 듯 했다. 메르스 감염 환자수가 줄어들자 8월 셋째주에는 조조 이용객이 22만471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1만5713) 보다 9002명 급증했다.

하지만 여기까지였다. 9월 1~4주째 지 조조할인 승객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소폭 증가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해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9월 1~5주까지 이용객 증감수를 따져보면 각각 5573명, 1만2213명, 4208명, 3063명, -88명 으로 점차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해와 올해 추석연휴가 각각 포함돼 있던 9월 둘째주와 다섯째 주를 제외하면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따져도 큰 의미를 찾기 힘들다. 7~9월 전체 하루 평균 이용객수는 22만156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1만9971명 보다 159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신용목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조조할인 제도 본연의 취지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요금 할인제도 뿐 아니라 유연근무제, 자전거 이용 활성화 등 시민 생활 패턴의 변화가 병행돼야 한다”며 “효율적, 합리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금․운영제도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종합] 코픽스 반년 만에 상승 전환…주담대 금리 오른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140,000
    • -0.71%
    • 이더리움
    • 5,002,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589,000
    • -3.52%
    • 리플
    • 685
    • -1.01%
    • 솔라나
    • 206,700
    • +1.03%
    • 에이다
    • 575
    • -1.54%
    • 이오스
    • 898
    • -4.06%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36
    • -2.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600
    • -3.43%
    • 체인링크
    • 20,860
    • -0.81%
    • 샌드박스
    • 511
    • -6.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