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8월 28일 文質彬彬(문질빈빈) 군자는 무늬와 바탕이 함께 빛나야

입력 2015-08-28 10: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군자를 형용하는 말 중 대표적인 것이 문질빈빈(文質彬彬)이다. 文(문)은 무늬, 質(질)은 본바탕이며 彬彬(빈빈)은 윤기가 나면서 조화로운 모양이다. 겉으로 드러난 무늬와 보이지 않는 바탕이 함께 빛나는 것이 군자다. 논어 옹야(雍也)편에 나오는 공자의 문질빈빈론은 선비들에게 금과옥조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바탕이 꾸밈을 이기면 촌스러워지고, 꾸밈이 바탕을 이기면 내용 없이 번드르르해진다. 꾸밈과 바탕이 조화를 이룬 뒤에야 군자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

질승문(質勝文)은 문채가 없거나 부족한 상태로, 문장은 조야(粗野)하고 생동감이 떨어진다. 문승질(文勝質)은 내용이 공허하고 언사만 요란해 문장이 부화(浮華)할 뿐이다. 둘 다 좋은 문장이 아니다. 문장만이 아니라 인간 됨됨이에서도 사와 야를 함께 경계해야 한다. 추사 김정희가 ‘史野’라고 쓴 서예작품도 이런 뜻을 담고 있다.

공자의 문질빈빈론은 질문겸비(質文兼備)와 통한다. 공자는 “말에 꾸밈이 없으면 실행된다 해도 멀리 가지 못한다”[言之無文 行而不遠], “감정은 믿음직스럽고자 하고 언사는 교묘하고자 한다”[情欲信 辭欲巧] 등의 말도 했다. 문질빈빈론의 바탕이 되는 생각이다.

택당(澤堂) 이식(李植)은 계해년(1623) 8월의 경연일기(經筵日記)에서 인조가 ‘야(野)는 비략(鄙略)이다’라는 문질빈빈의 주석이 무슨 뜻이냐고 묻자 “비(鄙)는 비속하다는 말과 같습니다. 옛사람들은 아름다운 것을 도(都)라 하고 누추한 것을 비라 했습니다”라고 답했다고 썼다.

문질빈빈을 문질병환(文質炳煥)이라고 쓴 경우도 있다. 병환은 선명하고 화려하다는 뜻이니 문과 질이 함께 빛난다는 말이다. 이백의 시 고풍(古風) 59수 중 1에 문질상병환(文質相炳煥)이라는 구절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940,000
    • +1.46%
    • 이더리움
    • 5,305,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675,500
    • +2.82%
    • 리플
    • 728
    • -0.14%
    • 솔라나
    • 241,400
    • +3.25%
    • 에이다
    • 639
    • -0.16%
    • 이오스
    • 1,122
    • +0.81%
    • 트론
    • 158
    • +0%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550
    • +2.67%
    • 체인링크
    • 24,650
    • +0.53%
    • 샌드박스
    • 650
    • +1.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