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홍콩계 자문사 티 로우 프라이스, 이번엔 오스템임플란트 ‘찜’

입력 2015-08-07 08:19 수정 2015-08-07 1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15-08-07 08:50)에 Money10을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공시돋보기]홍콩계 투자자문사가 오스템임플란트에 러브콜을 보냈다. 성장주를 찾아 장기 보유하기로 유명한 큰 손이 오스템임플란트를 장바구니에 담으면서 향후 주가추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티 로우 프라이스 홍콩 리미티드는 오스템임플란트의 주식 74만5369주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율이 5.22%로 확대되며 보고의무(지분 5% 이상)에 따라 공시에 등장했다. 7월 22일~28일 사이 티 로우는 오스템임플란트에 459억 가량을 투입했다.

티 로우 프라이스는 1937년 로우 프라이스에 의해 설립됐다. 캐나다를 비롯해 유럽(덴마크, 룩셈부르크, 네델란드, 스위스 등), 아시아(홍콩, 싱가폴, 도쿄 등), 호주에도 진출해 있는 다국적 투자전문 기업이다. 성장성이 높은 주식을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성장이 멈추면 매도하는 투자회사의 기본 방침을 철저하게 지켜온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아프리카TV의 지분을 꾸준히 확대해왔고, 주가도 우상향 곡선을 그린 바있다. 최근에도 아프리카TV의 지분을 확대해 이날 현재 97만4038주 (9.43%)보유중이다.

오스템임플란트는 대표적인 고령화 수혜주로 꼽힌다. 증권가에서도 관련분야의 선호 종목으로 주목 받아왔고 티 로우 역시 이점에 주목해 지분을 확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NH투자증권 하석원 스몰캡팀장은 최근 코스닥 시장 전망을 통해 “신약 개발에 나섰거나 개발중인 제약이나 바이오주보다 좋은 기기인지 아닌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의료기기 관련 종목을 추천한다”며 “관절염, 치과 치료 등 고령화에 따라 발생할 수 밖에 없는 헬스케어 관련 종목 중 오스템임플란트를 유망종목으로 제시한다"고 말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국내 인구 고령화 및 보험적용 확대로 내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중국의 인구 고령화에 따라 성장이 본격화 될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의 임플란트 시장은 전체 인구 대비 규모가 매우 미미한 수준. 그러나 현재 임플란트 제품의 잠재 소비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향후 중국 임플란트 시장의 성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이투자증권 이상헌 연구원은 “중국 임플란트 시장의 고성장 속에서 오스템임플란트는 시장점유율 1위 및 연수생 수 기반으로 올해부터 시장성장에 따른 매출이 증가하면서 수혜가 예상된다”며 “매출 성장이 해를 거듭할수록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투자자 300명에게 공개하는 종목의 속살 이투데이 스탁프리미엄에서 확인하세요

http://www.etoday.co.kr/stockpremium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490,000
    • -2.02%
    • 이더리움
    • 4,943,000
    • -2.04%
    • 비트코인 캐시
    • 581,500
    • -4.91%
    • 리플
    • 700
    • -0.57%
    • 솔라나
    • 201,200
    • -2.24%
    • 에이다
    • 568
    • -3.4%
    • 이오스
    • 878
    • -6.3%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750
    • -4.98%
    • 체인링크
    • 20,150
    • -4.55%
    • 샌드박스
    • 495
    • -9.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