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 누운 채 통째 인양 유력…세계 선박인양 사례 보니

입력 2015-04-10 16: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월호 선체처리 기술검토 태스크포스(TF)는 10일 맹골수도 같은 해역여건에서 세월호 크기만한 선박을 수중에서 통째로 인양한 사례는 세계적으로 없다고 밝혔다.

외국도 침몰한 선체가 다른 선박이 다니는 데 장애가 되거나 해양오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을 때, 그것도 대부분 선체를 절단하고 인양했다는 것이 기술검토TF의 설명이다.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2000년 이후 발생한 7000톤급 이상 외국 선박 주요 침몰사례 15건 중 인양한 사례가 14건이지만 이 중 상당수는 통째로 인양된 것이 아니라 선체가 절단돼 분리되고 나서야 인양됐다.

여객선은 아니지만 지난 2000년 러시아 북부 바렌츠해에서 폭발 사고로 침몰, 승조원 118명이 숨진 1만3000톤급 핵잠수함 쿠르스크호도 6500만 달러(약 711억8000만원)가 소요돼 작업시작 6개월 만에 인양됐다.

쿠르스크호 인양 사례는 배 길이가 155m로 세월호(145.6m)와 비슷하고 파고와 수중시야 등 사고 해역여건도 진도 앞바다와 유사해 세월호 인양에 참고될 전망이다.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자주 언급되는 다른 사례는 이탈리아의 콩코르디아호다.

지난 2012년 1월 승객과 승무원 4229명을 태우고 가다 이탈리아 질리오 섬 해안에서 암초에 부딪혀 죄초·침몰, 32명이 사망했다. 선박의 총 톤수(GRT)가 11만4147톤으로 세월호보다 16배 가량 무거운 콩코르디아호는 좌초 2년 반만인 지난해 7월 인양됐다.

세월호 인양 방식으로도 유력한 해상 선박 건조 구조물 플로팅 독이 활용됐으며 약 12억2000만 달러(약 1조3000억원)의 인양비용이 들었다. 특히 인양 후 선체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실종자의 시신이 수습되기도 했다.

인양을 포기한 사례도 있다. 1994년 9월 스웨덴 연안의 발트해에서 침몰해 852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무게 1만5556톤의 여객선 에스토니아호는 깊은 수심(84m)과 낮은 수온, 인양 중 시신훼손 가능성 탓에 인양이 포기됐다.

2006년 2월 이집트 연안의 홍해에서 침몰한 1만1779톤 여객선 알-살람 보카치오 98은 침몰한 수심(800m)이 너무 깊어 인양이 포기됐고 1953년 침몰한 영국의 프린세스 빅토리아도 수심(96m)과 빠른 유속 탓에 인양되지 못했다.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1941년 12월 침몰한 미국 해군의 USS 애리조나호도 절단해 인양하면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인양하지 않았고 대신 사고 해역에 추모관이 건립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65,000
    • +1.36%
    • 이더리움
    • 5,260,000
    • +0.29%
    • 비트코인 캐시
    • 664,000
    • +1.76%
    • 리플
    • 731
    • -0.14%
    • 솔라나
    • 238,900
    • +3.33%
    • 에이다
    • 636
    • +0.16%
    • 이오스
    • 1,116
    • +0.54%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9
    • +1.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150
    • +1.63%
    • 체인링크
    • 24,520
    • -0.28%
    • 샌드박스
    • 651
    • +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