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에 갈곳 없는 부동자금 800조원 돌파

입력 2015-03-16 08: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준금리 1%대, 실물경제 활성화 vs ‘돈맥경화’ 심화

부동자금이 800조원을 넘었다. 금리가 떨어지면서 시중에 많은 돈이 풀렸지만 마땅한 투자처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 사상 첫 1%대 기준금리 시대를 맞아 더 늘어날 시중 자금이 이런 추세를 심화시킬지 아니면 소비와 투자를 활성화할지 주목되고 있다.

16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월말 현재 단기 부동자금은 800조726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단기 부동자금은 현금 65조원, 요구불예금 143조6000억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370조5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 70조4000억원, 종합자산관리계좌(CMA) 39조1000억원원, 양도성예금증서(CD) 15조9000억원, 환매조건부채권(RP) 8조3000억원 등이다.

MMF 등 잔액은 금융사 간 거래인 예금취급기관 보유분과 중앙정부, 비거주자의보유분을 빼고 집계한 것이다.

여기에 6개월 미만 정기예금 71조5000억원과 증권사의 투자자예탁금 16조4000억원을 합쳐 시중에 대기중인 단기 부동자금을 구했다.

이 기준의 단기 부동자금은 2008년(연말 기준) 539조6000억원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며 2009년 646조7000억원으로 19.8% 급증했다. 이어 2010년 653조5000억원(1.0%), 2011년 649조9000억원(-0.5%), 2012년 666조4000억원(2.5%)까지는 매년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에서늘었다. 한국 경제의 덩치가 커지는 속도를 단기 부동자금이 따라오지 못한 셈이다.

그러나 2013년은 712조9000억원으로 7.0% 늘었고 2014년에는 794조8000억원으로 11.5% 급증했다. 경제의 덩치보다 부동 자금이 빠르게 늘면서 결국 올해 1월말에는 800조원을 넘어섰다. 2013년은 정기예금 금리(가중평균 신규취급액 기준)가 사상 처음으로 연 2%대에 접어든 해다.

금융위기를 넘기고 한은이 기준금리를 2011년 연 3.25%까지 올렸지만 실질 GDP 성장률이 2.3%로 뚝 떨어진 2012년 10월 기준금리를 2.75%로, 다시 2013년 5월 2.50%로 내리면서 은행 금리가 사상 최저치로 떨어지자 투자처를 찾지 못한 부동자금이 급증한 셈이다.

단기 부동자금은 시중에 돈은 많이 풀렸는데 투자처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늘어난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러시아처럼 경제가 불안해지면 사람들은 현금화할 수 있는 곳에 돈을 보관하려 한다”면 “저금리로 돈이 많이 풀리고 투자 대안은 없는 상황에서는 대기성 자금이 주로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은이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기존 연 2.00%에서 1.75%로 내린 상황에서 앞으로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최근 2년여간의 상황과는 달리 1%대의 기준금리가 소비나 투자 등 실물경제의 회복세를 충분히 자극해준다면 가장 바람직하다.

풀린 돈이 주식이나 부동산 시장을 자극해 주가나 집값을 올린다면 간접적으로 소비나 투자 심리 개선에 도움이 된다. 단 자산거품을 너무 키우지 않는다는 전제에서다.

그러나 단기 부동자금만 많이 늘어난다면 이번 기준금리 인하가 경제에 별다른 도움이 못 된다. 돈을 풀어도 실물경제로 돈이 흐르지 않고 자금이 기업 금고나 가계 장롱 속에만 머무르는 현상인 ‘돈맥경화’ 현상이 심화될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07,000
    • -2.35%
    • 이더리움
    • 4,933,000
    • -2.72%
    • 비트코인 캐시
    • 582,000
    • -4.75%
    • 리플
    • 710
    • +2.45%
    • 솔라나
    • 200,700
    • -2.53%
    • 에이다
    • 566
    • -3.74%
    • 이오스
    • 876
    • -6.21%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350
    • -5.35%
    • 체인링크
    • 20,010
    • -5.79%
    • 샌드박스
    • 490
    • -9.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