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오만에 조선기술 수출

입력 2006-09-25 12: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30여년 동안 조선산업에서 축적한 기술과 지식을 오만에 수출한다.

대우조선해양은 25일 오만 정부와‘오만 수리 조선소 건설과 운영’에 대한 위탁경영(Operation & Management)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향후 10년 동안 오만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리 조선소의 설계와 건설, 장비 구매 등에 컨설팅을 진행하고, 완공 후에는 대우조선해양이 최고경영자(CEO)를 선임해 위탁 경영하게 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 계약으로 그동안 선박이라는 하드웨어 중심의 수출에서 조선소 운영 기술이라는 지식 수출로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게 됐다.

또한 투자에 대한 리스크 없이 연간 100억원 규모의 로열티 수익을 올릴 수 있게됐으며, 중동지역에 안정적인 수리 조선소를 확보하게 됨에 따라 이 지역을 운항하는 고객들에게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계약 기간은 최대 20년까지 연장할 수 있어 대우조선해양에게는 총 2,000억원 규모의 로열티 수입이 예상되며, 조선소 건설기간 동안 설계, 감리, 자재 구매 및 생산인력 교육에 따른 추가 수입도 기대된다.

대우조선해양의 전략기획실장 고영렬 상무는“오만은 우리나라가 2번째로 많은 가스를 수입하는 대표적인 자원 수출 국가이지만 산업 인프라는 많이 부족한 편이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오만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각종 인프라 건설이나 자원 개발 등 새로운 사업 진출도 모색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위탁 경영할 수리조선소는 오만의 중부인 두큼(DUQM)지역에 30만평 규모로 건설된다. 주요 설비로는 초대형유조선(VLCC)의 수리가 가능한 길이 410m의 도크 2기와 300m 규모의 플로팅 도크 1기 등이 설치될 예정이다. 이는 중동지역의 수리 조선소 중 가장 큰 규모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현재 루마니아에 대우망갈리아조선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 옌타이에 건설중인 블록공장은 2007년부터 생산에 들어가는 등 조선 해양 사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비트코인 떨어지니 알트코인 불장 오나…"밈코인 도미넌스는 하락 중" [Bit코인]
  • 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13: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188,000
    • -0.64%
    • 이더리움
    • 4,951,000
    • -0.9%
    • 비트코인 캐시
    • 554,500
    • +1.09%
    • 리플
    • 691
    • -0.43%
    • 솔라나
    • 188,000
    • +0.48%
    • 에이다
    • 548
    • +0.37%
    • 이오스
    • 814
    • +0.49%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2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850
    • +1.45%
    • 체인링크
    • 20,090
    • -0.59%
    • 샌드박스
    • 474
    • +3.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