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가성비 제품 비중 확대 추진
러시아 법인의 실적 개선 흐름 지속
6월 영업(잠정)실적 요약
주영훈 NH투자증권
◇HD현대중공업
하반기 LNG선 발주 기대감 유효
2분기 영업이익 4,586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상반기 수주 성과 기대 이상, 하반기는 LNG선 발주 재개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10,000원으로 상향
이한결 키움증권
◇풍
신한투자증권은 16일 펩트론에 대해 주 1회에서 월 1회로 바꾼 '루프원' 투약 승인으로 비만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엄민용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6일 "루프원은 다케다의 월 1회 루프린이 오리지날인 제품으로 아스트라제네카, 사노피, 입센 등 빅파마들 중 극히 일부만 승인됐다"며 "국내는 펩트론이 유일하게 생물학적 동등성을 충족해 자체 기술력,
펩트론(Peptron)의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루프린’ 제네릭 의약품인 ‘루프원(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PT105)’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았다.
15일 식약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인 의약품안전나라 시판허가현황 공고에 따르면, 루프원이 승인을 받았다. 루프원은 다케다(Takeda)가 개발한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루프린(미국 제품
셀트리온제약(Celltrion Pharm)은 당뇨병치료제 ‘네시나메트서방정(성분명: 알로글립틴+메르포르민)’을 국내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네시나메트서방정은 당뇨병치료제 주성분인 ‘알로글립틴(alogliptin)’과 ‘메트로포민(metroformin)’의 복합제다. 알로글립틴은 혈당조절에 중요한 인크레틴을 분해하는 효소 DPP-4(dip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는 16일 글로벌 신약개발 CRO 엑셀리드(Axcelead)와 혁신신약 개발기업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와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을 위한 ‘ADC 툴박스(toolbox)’ 구축을 목표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이들 3개 회사는 차세대 항암제
롯데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신약개발 전문기업 엑셀리드, 혁신 신약 개발기업 카나프테라퓨틱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을 위한 ‘ADC 툴박스’ 구축을 목표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세 회사는 ADC 개발의 핵심 기술인 링커와 페이로드의 공동 연구개발에 협력할 계획이며 결과물은 롯데바이오로직스로 이전된다. 회
한국 의약품 가격 정책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직격 대상으로 지목될 수 있다는 긴장감이 높아졌다.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외국 정부의 불공정한 약가정책 조사를 시작하면서다. 그간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들이 한국의 약가 통제 시스템에 불만을 표출해왔던 만큼, 향후 USTR의 조사 결과에 한국이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MSD는 현재 11개 한국 기업과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병용 임상 14건을 진행 중이며 한미약품, 알테오젠 등과 수조 원 규모의 기술 계약을 맺었습니다. 양적·질적 성장이 뛰어난 만큼 MSD도 한국 제약산업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김알버트 한국MSD 대표는 9일 바이오코리아에서 열린 MSD 기업발표에서 한국 바이오텍과의 오픈 이노베이션 협
존슨앤드존슨 매출 888억 달러로 세계 1위릴리·노보 노디스크, 비만약 앞세워 급성장국내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5조로 1위
존슨앤드존슨(J&J)이 2024년 글로벌 제약사 매출 1위에 올랐다.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곳은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로 각각 전년 대비 32%, 26% 성장했다. 호주 제약사 CSL은 새롭게 20위 권에 진입했다.
한국다케다제약은 김미승 신임 항암제사업부 총괄을 4월 15일 자로 선임했다고 17일 밝혔다.
김 총괄은 20년 이상 제약 및 의료 분야에서 마케팅, 메디컬, 학술영업 등을 경험했다. 암젠 코리아 항암제사업부 총괄, 삼성서울병원과 국립암센터 임상 약사 등으로 재직한 바 있다.
김 총괄은 중앙대학교에서 약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성균관대학교와 인디애나대
동화약품은 한국다케다제약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덱실란트 디알캡슐30밀리그램’, ‘덱실란트디알캡슐60밀리그램’ 및 ‘란스톤엘에프디티정15밀리그램’, ‘란스톤엘에프디티정30밀리그램’의 국내 독점 판매 및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동화약품 관계자는 “업계 최고 수준의 공정 거래 및 윤리경영 원칙을 준수하고 있으며, 소비자와 의료계의 신뢰를 더
건수 전년보다 17%·금액 8% 각각 늘어기업, 성장 위한 투자 나서고해외 펀드도 일본 기업 눈길
지난해 일본의 인수합병(M&A) 건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주도의 주가 부양 정책에 힘입어 기업들이 자본효율 개선과 성장을 위한 투자에 나선 데다가 해외 투자펀드들도 일본 기업 인수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 영향이다.
9일 일본 니혼게
루프원, 내년 품목허가 예상…장기지속형 플랫폼 적용, 투약 편의성 높여LG화학과 손잡고 국내 류프로렐린 시장 공략…안정적 매출 수단 확보 기대
펩트론이 장기지속형 기술로 개발에 성공한 전립선암‧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성분명 류프로렐린)으로 800억 원 시장을 공략한다. 회사는 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23일 업계에
나이벡은 미국에서 개최된 제6회 ‘중추신경계 약물전달학회(CNS Drug Delivery Summit)’에 참석해 자체 펩타이드 기반 ‘혈액뇌관문(BBB)’ 셔틀 플랫폼 ‘PEPTARDEL-TB(펩타델-TB)’의 영장류실험 뇌 전송 효과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와 함께 바이오젠, 일라이릴리, 다케다, 아이오니스제약 등 다수의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위탁개발생산(CDMO)·위탁연구개발생산(CRDMO) 사업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국내에 20만 리터 규모의 생산시설을 짓고, 2028년부터 본격적인 매출을 일으킬 예정이다.
서 회장은 27일 오후(현지시간) 홍콩에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열고 “우리 기술력을 서비스 사업에 쓰는 일이 시작됐다”라며 이같이
에이프릴바이오는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되는 BIO JAPAN 컨퍼런스에 참석한다고 7일 밝혔다.
일본에서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현재까지 실험 데이터와 개발 컨셉 등을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유해 기술수출, 공동개발 등 다양한 사업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미팅을 가질 예정이다.
일본에는 ADC 유방암 치료제 엔허투 개발사로 잘 알
제일약품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을 국내에 출시하고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선다. 자큐보는 제일약품이 1959년 설립 이래 자체 개발한 최초의 신약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1일 제일약품에 따르면 자큐보는 올해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37호 국산 신약으로 허가받은 칼륨경쟁적위산분비억제제(
충북 첨단재생바이오 8개 기업, 日 쇼난 아이파크 입주 개시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 목표 국제공동 R&D 추진
중소벤처기업부는 실증, 기술개발, 기업협력, 투자, 비임상·임상, 인허가를 포괄하는 한·일 바이오 협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충북 첨단재생바이오 글로벌혁신특구에서 선정된 8개 기업은 9월부터 일본 쇼난 아이파크에 입
한국다케다제약은 전사적 관점에서 기업 역량을 분석하고 목표를 제시하는 경영기획부(Business Operations)의 신임 총괄로 호주 출신 피터 트랭(Peter Trang)을 선임했다고 19일 밝혔다.
신임 피터 트랭 총괄은 2016년 다케다제약 호주 지사의 비즈니스 인사이트 매니저로 합류한 후 호주 등 30여 개국을 관장하는 신흥성장시장사업부(G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제약바이오 분야의 글로벌 협력과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를 목적으로 11월 20일부터 22일까지 개최되는 ‘2024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위크 (Global Open Innovation Week 2024)’ 파트너링 참가 기업을 모집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