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퍼런스콜 "대출 성장 효과, 2분기부터""연체율 악화는 2~3분기 내로 관리"
iM금융그룹은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1117억 원 대비 38.1% 증가한 1543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iM금융의 호실적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대규모 대손충당금 적립 요인이 줄어든 데 기인한다. 그룹 충당금 전입액은 701억 원으로
콘퍼런스콜 "부동산 PF 충당금 불확실성은 제거기업대출 연체율 상승 리스크 관리 집중"
BNK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33.2%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 여신 확대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 영향이 컸다. BNK금융 이사회는 이날 주당 120원의 현금 배당 실시를 결정했다.
25일 BNK금융에 따르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콘퍼런스콜 "SKT 지분 정리 계획 없어...협력 유지""제4인뱅 컨소시엄 참여로 소호 영업기반 넓힐 것"
하나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수료 이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하나금융은 이날 주당 906원 분기 현금배당 실시를 결의했다.
25일 하나금융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IBK기업은행은 1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8142억 원을 시현했다고 25일 밝혔다. 같은 기간 은행 별도기준 당기순이익은 6.9% 늘은 7604억 원이었다.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253조7000억 원으로 전년말 대비 6조4000억 원 이상 증가했다. 시장점유율 역시 24.18%로 확대됐는데,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순익 1조4883억…1분기 기준 역대 최대안정적 자본비율 유지 및 일관된 주주환원 추진BIS자기자본비율 15.97%·CET1비율 13.27%
신한금융지주가 올해 1분기 1조4883억 원을 시현했다. 비은행 계열사의 이익이 전반적으로 확대된 데다 지난해 1분기 발생한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효과가 소멸되면
2월 기준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0.58%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8%로 전월 말 0.53% 대비 0.05%포인트(p) 올랐다. 전년 동월 말 대비로는 0.07%p 상승했다.
신규연체 발생액이 2조9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3000억 원 감소
JB금융지주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다. 기업대출 부문에서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면서 주요 자회사인 전북ㆍ광주은행 실적이 하락한 영향이다. 반면, JB우리캐피탈 등 비은행 자회사 실적 개선이 은행 부문의 부진을 일부 상쇄해 지주 전체의 순이익 감소 폭을 줄였다.
24일 JB금융에 따르면 올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지분)은
'관세 무풍지대' 은행 탄탄한 이자수익 주목IMA 신규 사업자 등 증권업종도 관심 몰려
잠시 주춤했던 금융주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1분기 호실적 전망에 이어 주주환원 기조가 확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면서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은행지수는 이달 들어 3.62%, KRX증권지수는 5.78% 상승했다.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증시 변동
가계대출 연체율 차이는 3배 넘어건전성 관리 위해 대출 축소 가능성"지역금융 활성화 위한 정책 지원을"
지방은행의 대출 평균 연체율이 주요 시중은행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성 지표 개선을 위해 지방은행이 대출 취급 규모를 줄이면서 지역민들과 기업이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부산·경남
은행들이 2분기에 중소기업과 가계에 대한 대출 문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2일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를 통해 2분기중 국내은행의 대출태도는 중소기업 및 가계에 대해서는 강화되고, 대기업은 완화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은행의 2분기 차주별 대출태도지수 전망을 1분기와 비교해 보면 △대기업 3→6 △중소기업 0→-6 △가계주택
한은, 10일 ‘2024년 자금순환(잠정)’ 발표가계및비영리단체 순자금운용 215.5조…소득 증가 등 영향비금융법인 순자금조달 -65.5조, 전년 절반 수준…“투자증가 둔화”
지난해 가계의 여윳돈이 통계 편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기업의 자금 조달은 1년 새 절반 수준으로 위축됐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4년 자금순환(잠정)’에 따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NPL)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은 고금리와 경기 둔화로 분석된다. 특히 기업여신 부문이 전체 부실채권의 80%를 차지해 구조적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삼정KPMG가 10일 발간한 ‘부실채권(NPL) 시장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NPL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한은, 9일 ‘2025년 3월중 금융시장 동향’ 발표은행 가계대출 1조4000억·주담대 2조2000억 증가폭 축소기업대출 2조1000억 원 감소, 역대 3월 중 20년 만에 감소 전환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폭이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5년 3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은 1조4000억
8일 금감원 상호관세 대응 점검회의 개최주가연계증권(ELS), 레버리지 상품 손실 확대 우려증권사 전산사고 신속한 투자자 피해보상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폭탄 상호 관세와 관련해 산업 별 피해 수준을 정밀 분석해 필요 시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최근 증권사 전산 사고에 대해 투자자 피해 보상이 신속하게
첨단기금 조성 위한 정부보증동의안 제출추경 통과 시 이르면 이달 조성 가능
금융당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타격이 불가피한 국내 수출 기업들을 전방위로 지원한다. 특히 50조 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에 속도를 낸다. 국회 논의가 원활하게 이뤄질 경우 이르면 이달 기금 조성이 완료돼 기업 지원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작년 수익 15조원, 3년 새 2배↑해외자산 비율 10% 넘기며 최대"남아시아·유럽, 시장 다변화 필요"
국내 주요 은행이 글로벌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해외 임직원 수, 자산·수익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세계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해외 근무 임직원
지난주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몇 달간 이어진 정국 불안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 금융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원·달러 환율은 2년 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였다. 그동안의 혼란을 감안하면 시장의 안도감이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다.
그러나 우리 경제를 정상 궤도에 올리기 위한 과제는 산적해 있다. 무엇보다 정치적 혼란이 남긴 불신이 뼈아프
한은-금융연구원, 3일 부동산 신용집중 개선 정책 콘퍼런스 개최부동산 신용 1932조5000억, 민간신용 49.7% 차지대출 비중 10년전 비교, 제조업 34.5→24.6%…부동산·건설업 19.7→29.4%“부동산 대출 취급유인 억제, 자본규제 보완…신용공급 체계 개편 필요”
부동산 신용이 최근 10년간 연평균 100조 원이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금 잔액 급감…요구불예금으로 자금 이동가계대출 1.8조↑…2월 증가 폭의 절반 '뚝'신학기 이사 수요·은행권 관리 강화 효과토허제 반짝 해제 후폭풍, 주담대 급증 가능성
국내 주요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이 한 달 새 15조 원 넘게 줄었다. 금리가 연 2%대로 떨어지자 투자자들의 관심도 빠르게 식어간 것으로 해석된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
지난해 말 보험사들의 대출채권 잔액이 전 분기보다 2조7000억 원 증가한 269조6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12월 말 보험사 대출채권 현황'에 따르면, 보험사들의 대출채권 잔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조6000억 원 감소했지만, 전 분기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대출 항목별로 보면 가계대출이 3개월 만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