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국산 원재료 비중 30% 밑돌아”

입력 2014-04-17 15: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농식품부 ‘2013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보고서 발간

식품제조업체가 사용하는 식품 원재료 중 국산의 비중이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들이 가격이 싼 수입산을 더 선호한 데 따른 결과다.

농림축산식품부가 17일 발간한 ‘2013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447만톤으로 전체 사용량(1504만톤)의 29.76%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국산원료 사용 비율 31.6%보다 1.9%포인트나 줄어든 수치다. 주로 마늘(77.6% → 57.4%), 명태(24.9% → 8.5%), 오징어(74.1% → 55.2%) 등의 국산 원재료 사용이 줄었다.

금액 기준으로는 전체 원료 사용금액 17조2906억원 중 국산 원재료 가격은 7조3402억원으로 42.5%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국산 원재료의 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원재료를 선호하는 이유는 ‘조달 용이’(33.3%)가 가장 많았으며 ‘원산지에 민감해서’(30.5%), ‘원재료가 신선해서’(20.9%), ‘외국산과 가격차가 없다’(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 원재료를 선호하는 까닭으로는 ‘저렴한 가격’(66%)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국내 생산 곤란’(12.1%), ‘안정적인대량 공급 가능’(9%), ‘일정한 품질’(3.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산비중이 90% 이상인 품목은 원유(100%), 계란(100%), 배추(99.8%), 인삼엑기스(98.4%), 무(97.7%), 파(91.4%) 등 25개 품목이었다. 이들 품목의 국산사용량은 315만 5000톤(전체 447만톤)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산비중이 10% 이하인 품목은 원당(0%), 옥수수(0%), 기타전분(0.2%), 소맥(0.3%), 대두유(0.5%) 등 31개 품목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는 “이들 품목의 경우 대체로 가공식품의 기초 원료로 국내 생산과 공급이 거의 없지만 앞으로 식품산업이 농업의 수요처로서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41,000
    • +1.13%
    • 이더리움
    • 5,266,000
    • -0.09%
    • 비트코인 캐시
    • 657,500
    • +0.92%
    • 리플
    • 727
    • +0.55%
    • 솔라나
    • 234,600
    • +1.56%
    • 에이다
    • 641
    • +1.58%
    • 이오스
    • 1,116
    • -1.15%
    • 트론
    • 157
    • -1.26%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500
    • +0.82%
    • 체인링크
    • 24,500
    • -0.81%
    • 샌드박스
    • 637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