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감 느끼면 '행복호르몬' 생긴다? 사실은...

입력 2013-08-02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쾌감 행복호르몬

▲사진=영화 'WE' 포스터

쾌감을 느끼면 행복호르몬이 나온다?

이같은 학설을 깨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크리스토퍼 피오릴로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행복을 느끼는 호르몬으로 알려진 도파민이 쾌감을 느낀다고 해서 무조건 분비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학술지 '사이언스' 2일자에 발표했다.

도파민은 뇌에서 분비되는 핵심 신경전달물질로 행복감이나 만족감 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도파민이 과다 분비되면 정신분열증, 조울증을 일으키기도 하고 부족하면 우울증을, 심하게 부족하면 뇌 운동 기능이 약해져 파킨슨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빛의 강도가 어두운 것에서 밝은 것까지 연속된 선상에 놓여 있듯 도파민도 긍정적인 자극과 부정적 자극의 한 선상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피오릴로 연구팀은 원숭이 실험을 통해 이 같은 학설을 뒤집었다. 도파민이 '보상' 가치에는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쓴 맛이나 불쾌감 같은 '처벌' 가치에는 반응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덜 쓴 주스, 덜 짠 소금물 등 예상했던 것보다 약한 처벌을 받았을 때 감정적으로는 기분이 좋아지지만 도파민은 생성되지 않았다. 기분과는 관계없이 뇌세포에서는 보상과 처벌이 별개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이 피올릴로 연구팀의 결론이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신경전달 물질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 등에 새로운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피오릴로 교수는 "보상받는 것, 보상받지 못하는 것, 처벌받는 것, 처벌받지 않는 것 가운데 도파민은 보상받는 것에만 반응했다"며 "우울증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도파민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 등 다른 뇌 신경전달 물질에 대한 역할을 규명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성과를 낸 피오릴로 교수는 미국 오리건 보건대학에서 신경과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9년 KAIST에 부임해 신경생리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00,000
    • -2.77%
    • 이더리움
    • 4,925,000
    • -3.28%
    • 비트코인 캐시
    • 583,500
    • -4.73%
    • 리플
    • 710
    • +2.01%
    • 솔라나
    • 201,000
    • -2.57%
    • 에이다
    • 565
    • -4.4%
    • 이오스
    • 877
    • -6.5%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7
    • -2.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100
    • -4.62%
    • 체인링크
    • 20,070
    • -5.91%
    • 샌드박스
    • 490
    • -1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