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그룹 지배구조 대해부] 삼환그룹, 최용권 회장 장남 제욱씨 등기임원 ‘3세경영’

입력 2013-07-1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장사 삼환기업·까뮤 포함 13개 계열사… 주력사 중심으로 계열사 ‘수직형 지배구조’

삼환그룹은 1946년 설립된 삼환기업공사가 모기업이다. 1952년 삼환기업으로 상호를 변경한 뒤 법인회사로 전환했다. 1967년 우성개발을 설립해 부동산 임대업에 진출했다. 1969년 우성식품을 설립하면서 음료제조 및 판매업으로 사업영역을 넓혔다. 1976년 삼환엔지니어링, 1977년 태양관광여행, 1978년 신민상호신용금고를 인수하면서 재벌그룹으로 성장했다. 1978년 삼환까뮤를 설립해 PC패널 제조와 아파트 건축·분양 및 건자재 하드웨어 수출업에 진출했다. 1979년 삼환종합기계공업을 설립하면서 기계공업 분야에도 발을 내디뎠다. 하지만 1990년대 주력사업인 건설업이 침제되면서 그룹 위상이 위축되기 시작했다. 결국 1996년 삼환엔지니어링과 태양관광여행을 합병해 삼환기술개발로 재출범하는 등 사업 구조조정에 나섰다. 현재 삼환기업를 중심으로 13개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 삼환기업, 삼환까뮤가 유가증권 상장사다. 2012 회계연도 기준 자산규모는 1조5538억원대다.

◇최용권 회장, 창업 2세대 경영자…장남도 경영수업 중 = 삼환그룹 창업주는 최종환 명예회장이다. 1996년 최 명예회장의 아들 최용권 회장이 회장직을 물려받았다. 이에 삼환그룹은 창업 2세의 경영승계가 이뤄졌다.

최 회장은 부인 한봉주씨와의 사이에 두 아들(제욱, 동욱)을 뒀다. 장남 제욱씨는 삼환기업의 등기임원으로 경영지원실장을 맡고 있다. 차남 동욱씨는 계열사 경영에는 직접 참여하고 있지 않다.

주력사 삼환기업의 지분은 최 회장 일가가 조금씩 보유하고 있다. 올해 3월말 기준 최 회장 6.90%, 부인 한봉주씨 0.15%, 최 명예회장 1.81%, 장남 최제욱 실장 1.93%, 차남 최동욱씨가 1.76% 등을 보유하고 있다.

최 회장은 올해 3월말 기준 신민상호저축은행 지분 8.45%, 삼환종합기계공업 지분 50%를 각각 갖고 있다.

최제욱 실장은 비주거용 건물임대업체 우성개발의 지분 56.3%를, 차남 동욱씨는 우성홀딩스 지분 99.95%를 소유하고 있다.

삼환기업은 삼환까뮤(49.64%), 신민상호저축은행(65.83%), 삼환기술개발(94.63%), 삼환컨소시엄(56%) 등 계열사 지분을 보유하며서 수직계열체제를 이루고 있다. 반면 삼환까뮤와 신민상호저축은행은 삼환기업의 지분을 각각 3.62%, 0.77% 보유해 상호출자 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룹 매출 1조원 이하로 하락…주요 계열사 CCC 등급 = 삼환그룹은 2012 회계연도 기준 매출액 8031억원대다. 이 중 삼환기업이 6361억원대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삼환까뮤가 910억원, 삼환종합기계공업이 270억원대다.

삼환그룹의 전체 매출액이 1조원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한 것은 2011년부터다. 2011 회계연도 기준 전체 그룹 매출액은 9789억원대다.

특히 삼환그룹의 적자회사 현황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13개 계열사 중 7개 회사가 적자를 냈다. 총 적자규모는 4626억원대다. 주력회사인 삼환기업은 지난해말 기준 4296억원대로 가장 큰 순손실을 보였다. 이어 같은 기간 삼환컨소시엄이 적자 전환하면서 123억원, 신민상호저축은행이 69억원, 칠성PFV가 56억원, 하왕십리삼환PFV 48억원, 삼환까뮤가 46억원대의 적자를 보였다.

삼환그룹 계열사들의 신용등급을 살펴본 결과, 삼환기업, 삼환까뮤 등 주요 계열사들이 CCC 등급에 속해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삼환종합기계공업이 B 등급으로 가장 높은 등급에 놓여 있다. 이어 삼환까뮤, 삼환기술개발, 칠성흥업이 CCC+를, 삼환기업과 회현상사가 CCC를 보이고 있다. CCC 등급은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보통 이하이며, 상거래 안정성 저하가 예상돼 주의를 요하는 기업을 말한다. 삼환컨소시엄, 칠성PFV, 하왕십리삼환PFV는 CC+를 나타내고 있다.

이번 평가는 나이스신용평가정보의 2013년 정기평가 결과다. 신용등급은 각 기업을 AAA, AA, A, BBB, BB, B, CCC, CC, C, D, R로 구분하며 재무적 신용도를 나타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520,000
    • -1.7%
    • 이더리움
    • 4,950,000
    • -1.69%
    • 비트코인 캐시
    • 580,500
    • -4.84%
    • 리플
    • 699
    • -0.57%
    • 솔라나
    • 202,000
    • -1.61%
    • 에이다
    • 569
    • -3.07%
    • 이오스
    • 874
    • -6.52%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600
    • -4.86%
    • 체인링크
    • 20,150
    • -4.59%
    • 샌드박스
    • 495
    • -8.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