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허와실']現정부 치적쌓기 급급…실제 결실은 '나몰라라'

입력 2012-03-22 08: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카타르 국부펀드' 유치 구체 일정 마비

정부가 불씨를 살리려 공들이고 있는 ‘제2 중동붐’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지난달 이명박 대통령의 터키와 중동순방 이후 쏟아진 청사진은 화려하기 그지없다. 하지만 실속 여부는 더 따져봐야 한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카타르 국부펀드’다. 최근 국토부는 국내 기업들이 따낸 해외 프로젝트에 850억원에 이르는 카타르 국부펀드가 투자를 결정했다고 홍보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통령 순방에 따른 후속조치로 프로젝트를 기본으로 투자형개발사업에 참여키로 했다”며 “카타르 펀드가 조성돼 있기 때문에 바로 투자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속내를 자세히 살펴보면 구체적인 프로젝트 내용이나 일정은 전혀 없다. 게다가 정부간 협력의 기본절차인 양해각서(MOU) 조차도 아직 체결하지 못했다. 심지어 국내 글로벌인프라 펀드와 공동펀드를 구성해 해외 투자개발형 사업에 투자하는 방안은 중장기 과제로 남겨뒀다. 눈에 들어오는 성과라면 카타르 국부펀드 유치를 위한 정부간 협력채널을 마련했다는 내용 정도다.

이렇다보니 실속보다 정부차원의 치적쌓기에 급급한 회의로 전락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투자형개발사업은 세계경기 침체로 수익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대형 건설사들도 쉽게 진출을 낙관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 사실상 카타르 국부펀드가 투자할 수 있는 사업은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3일 한국-이라크 협력위원회 회의도 별반 다르지 않다. 시장조사단 파견 등 일부 진일보한 논의가 오간 것은 사실이지만 기업들 입장에서 바로 수주로 이어질 만한 내용은 부족하다는 평가다. 특히 이라크는 여전히 여행금지구역으로 묶여 있어 국내 기업들이 시장진출에 불안감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해외 투자사업의 경우 MOU를 체결하고도 공동사업 추진이 수년 걸리는 경우가 많다”며 “중동의 경우는 특히 더 하다”고 지적했다.

김 박사는 이어 “정부가 희망을 주기 위한 홍보 극대화를 노리는 점은 이해할 수 있지만 신중한 접근도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07,000
    • +0.18%
    • 이더리움
    • 5,342,000
    • +1.17%
    • 비트코인 캐시
    • 647,500
    • +1.33%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800
    • -0.3%
    • 에이다
    • 632
    • +1.12%
    • 이오스
    • 1,138
    • +0.44%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50
    • -0.52%
    • 체인링크
    • 25,890
    • +0.98%
    • 샌드박스
    • 626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