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FTA 강행처리 방조 의도는?

입력 2011-11-23 11:00 수정 2011-11-23 11: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직권상정 유도 후 여론몰이 의혹… 저항도 약해

민주당이 한나라당의 한미FTA 비준안 강행 처리를 사전에 알고도 방조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직권 상정을 통한 단독처리를 유도해 총선을 앞두고 여론몰이를 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한나라당의 22일 비준안 강행 처리는 이미 예고된 것이었다. 이날 오전 11시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가 만났다. 비준안 처리를 위한 막판 협상 자리였지만 결국엔 결렬됐다. 황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오후 본회의 처리를 우회적으로 김 원내대표에 알렸다. 황 원내대표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원내전략을 맡고 있기에 비준안의 강행처리 계획을 김 원내대표에 직접 말하지는 않았지만 눈치는 챘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한나라당 의원 몇몇으로부터 강행 처리한다는 얘기를 미리 들었다”고 밝혔다.

그런데도 민주당은 대응하지 않았다. 한나라당이 의원총회 장소를 예결위 회의장으로 옮기고 오후 2시50분께 본회의장으로 모여들 때까지 모른척 했다. 김 원내대표는 오후 3시9분께가 돼서야 본회의장 집결 긴급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이때는 이미 국회가 의원들을 제외한 모든 인원의 본청 출입을 통제하고 있을 때다. 결국 민주당 보좌진들은 ‘힘’ 한 번 써보지 못하고 본회의장을 한나라당에 내어 주고 말았다.

민주당의 여론몰이 의혹은 의원들의 태도에서도 드러났다. 긴박한 상황임에도 민주당 의원들은 드문드문 본회의장으로 입장했다. 아예 불참한 의원들도 많았다. 최종 참석자는 40여명으로, 민주당 전체 의원 87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회의장 내 저항도 미디어법 처리 때와는 판이하게 달랐다. 20여명의 의원들이 의장석 앞에서 삿대질을 하며 언성 높여 항의하는 정도가 다였다. 대부분 의원들은 자리를 지키거나 떴다.

오히려 민주노동당이 소수당임에도 불구하고 거세게 항의했다. 김선동 의원은 사상 최초로 본회의장 안에서 최루탄을 터뜨렸고, 정의화 국회부의장 얼굴에 최루가루를 뿌렸다. 민노당 당직자는 ‘비공개 본회의’라는 이유로 방청석 입구를 막고 있던 경위를 뚫고 유리문을 깨뜨려 기자들의 취재를 도왔다. 민주당의 모습과는 상반됐다. 민노당의 한 관계자는 “한나라당이 이럴 걸 알았는지 몰랐는지 도대체 민주당이 한 게 뭐냐”며 불만을 터뜨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건강검진 질병의심소견도 보험사에 알려야"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65,000
    • +1.02%
    • 이더리움
    • 5,266,000
    • -0.79%
    • 비트코인 캐시
    • 651,000
    • +1.32%
    • 리플
    • 726
    • +0.83%
    • 솔라나
    • 230,600
    • +0.7%
    • 에이다
    • 639
    • +1.91%
    • 이오스
    • 1,121
    • -0.09%
    • 트론
    • 159
    • -1.85%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50
    • +1.41%
    • 체인링크
    • 24,570
    • -3.57%
    • 샌드박스
    • 633
    • +3.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