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칩을 찾아서]SMEC "창출된 수익은 주주에게…고객 만족 회사 실현"

입력 2011-11-17 11:01 수정 2011-11-18 14: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효제 대표이사 인터뷰

▲이효제 SMEC 대표이사
이효제 대표이사는 “통신과 기계분야 최고의 기술을 가진 회사”라고 SMEC를 소개했다. 그는 “최고의 제품을 만들어 최고의 고객만족을 실현하는 회사가 될 것”이라며 “창출된 수익은 모두는 주주들에게 환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이효제 대표이사와의 일문일답.

-통신사업부문의 소프트웨어적인 강점과 기계사업부문의 하드웨어적인 강점이 접목된 새로운 제품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프로젝트명 SMCM(Smart Machine Control Management)으로 공작기계에 SMCM모듈을 장착해 공작기계를 스마트폰 등으로 원격 조종하는 장치를 개발 중에 있다. 공작기계는 가동 전 30분 정도 예열이 필요한데 SMCM 근무자가 출근 시 스마트폰으로 미리 예열을 시키면 작업장에 도착해서 별도의 준비절차 없이 바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발전된다면 작업자는 더 이상 현장에서 근무할 필요가 없고 통제실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기계를 제어하고 작동하는 일이 가능해 질 것으로 본다.

-올해 들어 SMEC의 주가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주가부양을 위한 계획이나 대책은.

▲주가는 해당 기업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반영하는 수치라고 생각한다. 주가가 기대치에 다소 못 미치는 부분은 회사의 가치가 시장에서 정확하게 평가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잠재력 등 회사 가치를 정확히 알리고 미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지속적인 IR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실적으로 보면 매출 증가세는 뚜렷하지만 영업이익 측면에서 이익률이 너무 낮은 것 아닌가.

▲영업이익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크게 판가와 구매원가가 있다. 작년 말과 올해 초에 수주가 많았다. 올해 수주 확정 이후 제품의 판가가 인상됐지만 기 수주된 부분이라 판가 인상분이 제대로 적용되지 못했다. 반면 원재료 수급에 있어서는 엔고의 영향 등 인상된 부분들을 그대로 적용받다 보니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치게 됐다. 향후 이익률은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본다.

-올해 창원공장 외에 김해 주촌단지 내 1만평 규모 부지에 제2공장 설립을 계획중인 것으로 안다. 글로벌 경제 상황과 회사 재무를 종합하면 무리한 사업 확장 아닌가.

▲현재 창원 공장부지는 4000평이다. 라인을 풀 가동해도 주문량이 많아 100% 납품이 어렵다. 특히 미국, 영국 등 수출처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 심하다. 김해 주촌 단지내 라인 증설을 통한 생산량 증대는 반드시 필요하다. 지적한 높은 부채비율 역시 부지 구입을 위한 자금조달 목적으로 사용됐다. 향후 창원부지 매각을 통해 마련된 자금 등을 활용해 상환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472,000
    • -1.82%
    • 이더리움
    • 4,956,000
    • -1.61%
    • 비트코인 캐시
    • 582,000
    • -4.59%
    • 리플
    • 700
    • -0.43%
    • 솔라나
    • 202,100
    • -1.75%
    • 에이다
    • 569
    • -3.07%
    • 이오스
    • 874
    • -6.52%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800
    • -4.43%
    • 체인링크
    • 20,140
    • -4.64%
    • 샌드박스
    • 494
    • -8.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