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가낙찰제 100억이상 확대…"건설업 다 죽는다" 강력 반발

입력 2011-11-09 11:26 수정 2011-11-09 16: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자리 줄고 과당경쟁 등 각종 폐해

정부가 내년 1월 부터 공공발주 공사에 대해 최저가낙찰제를 확대 시행할 방침이어서 가득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될 전망이다.

이에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와 한국전기공사협회,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한국건설품질협회 등 건설단체들은 9일 조간신문에 최저가낙찰제 확대 철회를 요구하는 광고를 싣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 1월부터 100억원 이상 공공발주 공사에 대해 최저가낙찰제를 확대 적용키로 하고 10일‘최저가낙찰제 제도 개선’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는 중소 건설사와 지방 건설사의 사업 영역인 300억원 미만 공공사업으로 제도를 확대하면 해당 업체들이 고사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건설단체들은 "최저가낙찰제가 확대되면 근로자들의 일터를 빼앗고 지역경제와 서민가계의 생존기반을 붕괴시킬 것"이라며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또 다시 가격경쟁을 유도하는 것은 건설사들의 일방적 희생과 고통을 강요하는 정책"이라고 강하게 불만을 토로했다.

건설업계 분석 결과 지난 2006년 최저가낙찰제가 500억원 이상 공사에서 현행 300억원 이상 공사로 확대된 이후 업체들이 공사비를 줄이려고 내국인 대신 임금이 저렴한 외국인 근로자들을 주로 채용하면서 연평균 5만6000개의 내국인 일자리가 사라지고 미숙련 근로자들의 산업재해가 늘어났다.

고용 감소뿐 아니라 하도급·장비·자재 업체는 물론 지역 연관 산업이 연쇄적인 타격을 받아 국가경제 전반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이들 단체는 전망했다.

건설업계는 특히 최저가낙찰제가 확대되면 업체들 간 과당경쟁, 덤핑수주가 더 잦아지면서 경영이 더욱 나빠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업은 국민 경제의 기초가 되는 기반시설과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산업으로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며 "작년 기준으로 1억원 이상 공사를 단 한 건도 수주하지 못한 업체가 29%나 되는데 최저가낙찰제가 확대되면 과당 경쟁으로 각종 폐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뉴진스 뒷담화 사실여부 질문에…민희진 "3년 전에 카톡 다 기억하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61,000
    • +0.8%
    • 이더리움
    • 5,208,000
    • +0.12%
    • 비트코인 캐시
    • 645,500
    • +0.16%
    • 리플
    • 721
    • +0%
    • 솔라나
    • 231,100
    • +0.04%
    • 에이다
    • 623
    • +0.32%
    • 이오스
    • 1,125
    • +1.53%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200
    • +0.52%
    • 체인링크
    • 24,720
    • -2.98%
    • 샌드박스
    • 605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