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버냉키, FOMC 의사록 열어보니

입력 2011-08-31 09: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기부양 ‘특단 대책’·QE3 등 비상수단 논의...9월 FOMC 결과 주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택할 ‘특단의 대책’은 무엇일까.

연준이 30일(현지시간) 공개한 8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이 추가 경기부양책을 놓고 뜨거운 공방전을 벌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 위원들이 추가 부양책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의견을 모으지 못하고 혼란만 커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의사록에 따르면 경기부양을 위해 추가 국채 매입을 통한 3차 양적완화(QE3) 등 비상수단이 폭넓게 논의됐다.

의사록은 “회의 참석자들은 고용시장 불안, 가계지출 둔화, 소비자 및 기업 신뢰도 추락, 주택경기 침체 등에 주목했다”고 밝혀 초저금리 기조 외에 추가 수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강했음을 시사했다.

특히 일부 위원은 정책 금리를 실업률이나 물가상승률에 연동시키는 방식과 같은 다양한 정책 옵션을 검토할 것을 주장했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 등은 미 경제성장이 주춤하다면서 상당기간 연준의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추가 부양책에 반대표를 던진 나야나라 코처라코타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등은 인플레이션 우려 등을 이유로 오는 2013년 중반까지 초저금리 유지 방침에도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경기부양 수단을 놓고 첨예한 대치가 계속되면서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고민도 깊어질 전망이다.

버냉키 의장을 비롯한 위원들은 차기 FOMC에서 경기부양에 대한 논의를 지속할 방침이지만 전문가들은 부양 수단에 대해서는 혼란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연준은 오는 9월20일부터 이틀간 FOMC를 개최한다.

이날 공개된 경제지표가 전반적으로 부진했다는 사실도 연준의 추가 부양책의 필요성을 키웠다는 평가다.

미국의 8월 소비자신뢰지수는 44.5로 전월의 59.2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이는 지난 2009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데다 전문가 예상치인 52도 밑도는 것이다.

미국 주요 20개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케이스·쉴러 주택가격지수는 지난 6월에 전년 동기 대비 4.52%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이어 첸백시까지…'분쟁'으로 바람 잘 날 없는 가요계 [이슈크래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49,000
    • -2.69%
    • 이더리움
    • 4,969,000
    • -3.25%
    • 비트코인 캐시
    • 635,000
    • -2.61%
    • 리플
    • 683
    • -2.15%
    • 솔라나
    • 217,200
    • -2.82%
    • 에이다
    • 607
    • -3.34%
    • 이오스
    • 974
    • -2.01%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8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000
    • -5.43%
    • 체인링크
    • 21,730
    • -3.03%
    • 샌드박스
    • 568
    • -2.91%
* 24시간 변동률 기준